바이오매스로부터로부터 수소를 생산하는 신기술
- 전문가 제언
-
○ 수소는 지구상에 있는 가장 많은 원소이나 단독으로 존재하지 않고 다른 물질과 화합물의 형태를 이루고 있다. 물 또는 화석연료 중에 탄화수소 형태로 존재함으로서 수소 생산을 위해서는 물의 전기분해, 화석연료의 열분해 및 가스화 반응에 의해서 생산된다. 화석연료에서 수소를 생산 할 경우에는 수소뿐만 아니라 온실가스인 CO2를 함께 생성함으로 온실 가스를 줄여야 하는 부담을 안게 된다. 오늘 날 공업적인 수소 생산은 대부분 열화학적 방법인 천연가스 및 나프타의 증기 개질 반응에 의하거나 중질유 또는 석탄의 부분산화 반응에 의해 수소를 생산하게 된다. 무엇보다 화석연료에 의한 청정한 수소 생산을 위해서는 막대한 에너지가 투입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 열화학적인 가스화 제조 방법 이외 바이오매스의 광촉매를 활용하거나 또한 생물학적 기술에 의하여 수소를 제조 할 수 있다. 석탄 가스화 기술이 상업화 된 것은 100년이 넘으며, 천연가스 나프타 등의 증기 개질 공정이 실용화된 것은 60년이 넘는 기술들이다. 그러나 바이오매스와 태양광을 활용한 광촉매 또는 생물학적인 수소 생산 기술은 1980년대 이후 개발된 새로운 기술로서 가장 풍부한 자원인 물과 태양 에너지를 활용한 수소 제법이며 아직 기술 개발 초기 단계이다.
○ 일부 선진국에서는 광촉매 활용과 미생물을 활용한 수소 제조 기술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는 실정이다. 이 같은 수소 제조 기술은 CO2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화석연료 대체 효과가 크게 기대된다. 국내 기술 수준은 아직 초보 단계이기는 하나, 선진국의 기술 개발 동향을 면밀히 분석하여 미래에 다가올 수소 시대를 대비하여야 할 것이다. 현재와 같은 화석 연료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수소 생산 방식을 바이오매스를 활용한 광합성 및 미생물 발효에 의한 수소 생산 방식으로 전환 할 수 있도록 기술개발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기를 바란다.
- 저자
- Elif Kirtay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1
- 권(호)
- 52
- 잡지명
- Energy Conversion and Managemen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1778~1789
- 분석자
- 박*준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