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광 내 약물 전달
- 전문가 제언
-
○ 방광 질환의 치료에서 약물 침투의 향상을 위한 화학적 매개체를 사용한 화학적 방법의 최적화에 대한 연구가 대규모 활용을 위하여 필요하다.
○ 나노운반체가 방광 내 약물 투여의 효험을 증진시키므로 써 방광 질환 의 치료를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방광 내 질병세포에 대한 나노미립자의 능동적 약물표적화의 평가가 필요하고 그 결과 나노 미립자 간의 약물표적화의 차이가 밝혀질 것이다.
○ IDD에 대한 잠재성은 밝혀졌으나 다루기 어려운 방광질환의 치료를 위하여 임상 가능한 새로운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고 이에 관련된 연구가 계속적으로 진행되어야한다.
○ 온도에 민감한 수화겔은 방광 벽에 지속적으로 잘 부착될 수 있으므로 그와 같은 중합체들이 IDD에 활용되면 방광 질환의 치료에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다.
○ IDD 이외에 개발된 방법들(예 : 열화학요법, 유전자 치료)은 환부의 약물 표적화를 좀 더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나노미립자들과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고 국부적인 약물 투여를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려 된다.
○ 유전자가 기반으로 된 치료는 비뇨기의 실금, 기능이상 및 방광염과 같은 비뇨기 질환에 사용될 수 있다.
○ 화학 증폭제 기능을 할 수 있는 생체분자들(예 : 키토산)의 요로 상피 투과 메커니즘이 밝혀지므로 써 그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광 내 약물 투여도를 증진시킬 수 있다.
○ 최근까지 방광질환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하여 개발된 다양한 IDD 방법들에 대한 환자들의 임상 자료를 수집하여 비교 분석하면 방법들 간의 차이를 밝힐 수 있을 것으로 사려 된다.
- 저자
- Shruti GuhaSarkar, R. Banerjee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0
- 권(호)
- 148
- 잡지명
- Journal of Controlled Releas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147~159
- 분석자
- 현*옥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