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성 오일을 이용한 폴리머의 녹색합성
- 전문가 제언
-
○ 21세기에 들어서서 녹색기술이 강조되는 이유는 석유의 사용으로 온실가스의 증가로 인한 지구 온난화 때문이지만, 석유는 연료 이외에도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거의 모든 폴리머 제품을 만드는 연료로 사용되고, 이의 제조과정에서 유해한 폐기물이 대량으로 방출되어 환경을 심각하게 오염시키기 때문이다.
○ 녹색기술의 궁극적 목표는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의 환경이 앞으로 우리 후손들이 계속 안락하게 살 수 있도록 지속가능한 환경을 만드는데 있고, 화학 분야, 특히 합성 분야에서는 화학반응을 포함한 모든 단위조작 공정에서 에너지를 절약하고, 폐기물을 최소한으로 배출하는 녹색기술을 구현하는 것이다.
○ 식물성 오일은 구하기 쉽고, 독성이 없으며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장 중요한 신재생 자원이다. 따라서 폴리머 과학자들은 최근 개발된 다양한 중합기술을 이용해서 다양한 종류의 식물성 오일들로부터 폴리머를 합성하는 연구를 활발하게 진행시키고 있고, 그 결과 일부 식물성 오일 기반 폴리머들은 기존의 석유 기반 폴리머들을 대체해가고 있는 추세이다.
○ 이 글은 Iowa State University 화학과의 Richard C. Larock 교수가 1999년 이래 본인의 실험실에서 수행한 식물성 오일의 중합반응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 이 분야의 최근 동향을 소개한 리뷰를 필자가 간단하게 요약한 글로서 우리나라의 폴리머 분야기술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논문이라고 판단된다.
○ 우리나라도 최근 녹색기술을 21세기의 국가발전의 성장 동력으로 정하고 강력하게 지원하고는 있지만 정부가 주도적으로 지원하고 있는 녹색기술은 화석연료와 관련된 이산화탄소 저감기술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는 점에서 녹색기술의 근간이 되는 녹색화학 분야가 활발하게 다뤄지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 유감스럽다고 하겠다.
- 저자
- Ying Xia and Richard C. Larock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0
- 권(호)
- 12
- 잡지명
- Green Chemistr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893~1909
- 분석자
- 이*웅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