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속에 존재하는 병원균
- 전문가 제언
-
○ 1971년에서 1980년 사이, 처리되지 않은 지하수는 미국에서 수인성 병 발생의 1/3이상을 차지했다. 이 통계는 병원균 미생물에 의한 지하(subsurface) 오염의 잠재력을 지적하고 있다. 병원균의 주요 소스는 폐수 배출수, 폐기물 처리로부터 잔여 슬러지 및 정화조 배출수이다.
○ 지표미생물이란 환경변화에 따라 분포양상이 변하여 환경변화의 정도를 나타내는 미생물을 지표미생물(indicator microorganism)이라고 한다.
○ 이 논문은 물에 있는 장내(enteric) 병원균의 발생을 예측하기 위하여 미생물 지표(indicators)를 사용하는 것의 가치와 한계를 논하고 있다. 처리되거나 안 된 하수는 표면수 또는 지하수 배설물 오염의 주 소스이기 때문에, 하수의 병원균와 지표사이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집수(receiving waters)에서 상호관계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단계이다.
○ 수질검사에서 깨끗한 음용수가 공중보건에서 차지하는 중요성 때문에 처리법의 효율성을 평가하고 음용수 안전기준을 확립하기 위하여 객관적인이 검사방법이 요구된다. 일상적인 검사에 있어서 Salmonella, Shigella와 같은 실제 장내 병원균의 검출은 어렵고 불확실한 작업이 될 수 있다.
○ 대신에 음용수의 세균학적 검사는 소위 지표세균이 얼 만큼 존재하는 가를 측정함으로써 간단하게 물 시료가 대변에 의해 오염되었는가의 여부와 정도를 추축한다. 분원성(대변 소스) 오염의 지표세균으로서 가장 자주 이용되는 지표세균은 통상 비 병원성인 Escherichia coli이다.
○ 우리나라에서 대수층 및 지하수 관련연구는 10년 전까지만 해도 거의 그 사례를 찾을 수 없을 정도로 미미하였다. 이는 기본적으로 유해 폐기물로 인해 파생되는 제반 위해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매우 낮았고, 토양오염이나 지하수 오염과 관련한 정부 차원의, 또는 상업적인 기술수요가 전무하였기 때문이다.
- 저자
- P. Payment and A. Locas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1
- 권(호)
- 49(1)
- 잡지명
- Ground Water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4~11
- 분석자
- 유*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