멜라민 분석법
- 전문가 제언
-
○ 식품에서 조단백질의 함량은 Kjeldahl 질소 정량법으로 얻은 총 질소함량에서 계산하는 맹점을 이용하여 질소함량이 매우 높은(66%) 멜라민(MEL)을 유아용 유제품에 첨가하여 세계적인 문제를 일으킨 이래 여러 가지 멜라민의 분석법이 발표되었다.
○ MEL의 식품 잔류량은 나라별로 조금 다르나 대개 유아용은 1 ppm 미만, 기타 식품은 2.5 ppm미만을 채택하고 있다. 우리나라 식품공전에서 유아용과 유제품의 MEL 기준은 “불검출”로, 기타 식품은 “2.5 ㎎/㎏ 이하”로 되어 있다. “불검출 기준 적용대상 식품”에서 멜라민의 분석은 LC-MS/MS 방법으로 규정되어 있고, 정량한계(LOQ)가 0.5 ㎎/㎏으로 되어 있음을 감안하면 불검출 대상 시료에서 MEL은 그 이하로 보면 될 것이다.
○ 미국의 FERN-CHE.0003.00 SOP나 우리나라의 식품공전에서 채택하고 있는 분석방법 외에도 많은 방법이 새로 나오고 있으며 그 중에서 감도가 높고 정확성과 재현성이 높은 것으로 방법을 채택할이 변경 될 수도 있어 계속 발전하고 있다.
○ 최근의 숙련도 비교시험(proficiency test)에서 보면 같은 우유 제품분석에서 평균값 2.53 ㎎/㎏ (중위값: 2.40 ㎎/㎏)일 때 결과들은 0.768 ~ 24.1 ㎎/㎏범위에 있고 |z|값이 2를 벗어난 데이터도 상당히 존재하고 있다. 이는 실험실의 능력 차이는 물론 MEL을 분석할 때 추출, 농축, 정제 등 시료 전처리 과정에서 회수율(recovery)이 좋지 않고 LC-MS, LC-MS/MS의 분석결과에서 상대표준오차도 상당히 크기 때문이다.
○ 기기분석법은 고가 장비를 사용하고, 숙련된 분석자가 필요하며, LC-MS/MS에서는 시료의 전처리 과정이 복잡하여 측정 불확도(Measurement Uncertainty)가 클 수 있으므로 간편하고 정밀한 방법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현재 생물학적 방법을 모방한 MIP, 나노기술을 접목한 센서 등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어 그 추이를 지켜 볼 필요가 있다.
- 저자
- Fengxia Sun, Wei Ma, Liguang Xu, Yinyue Zhu, Liqiang Liu, Chifang Peng, Libing Wang, Hua Kuang, Chuanlai Xu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0
- 권(호)
- 29(11)
- 잡지명
- Trends in analytical chemistr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239~1249
- 분석자
- 어*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