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야채 중의 중금속 축적량 예측방법

전문가 제언

○ 구리와 같은 중금속을 채광 시 생산하는 배수를 적절하게 처리하지 않고 방치하면 하천에 방류하여 하천을 오염시키고 하천이 오염되면 하천유역의 토양이 중금속을 흡수하기 때문에 오염된 환경인 토양에서 생산하는 야채에 많은 양의 중금속이 축적된다. 이와 같이 중금속에 오염된 농작물을 사람이 섭취할 경우 건강에 피해를 준다.

○ 우리나라 폐광지역에 재배하거나 유통 중인 배추, 시금치, 파, 무 등 10대 농산물에 대한 대대적인 중금속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2006년12월 21일자로 납, 카드뮴 등의 중금속기준을 제정하여 농산물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는데 노력하고 있다. 이후에도 계속 기타 농산물에 대하여도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기준을 제?개정하고 있다.

○ 중금속이 야채 중에 축적된 량을 간단하게 예측하기 위해 대표적인 토양 오염물질인 구리를 실지 토경재배에 의한 축적량과, 발아부터 어린 모종에 까지 초기시스템을 착안한 수경재배에 의한 축적량을 연구결과 상관성이 있었다.

○ 수경 재배한 구리 축적량과 토경재배한 축적량은 상관성이 있기 때문에 씨를 뿌릴 때부터 수확 때까지 전 생애에 걸쳐 장기간 폭로실험을 하지 않고 미카에리스멘헌식(Michaelis-Menten kinetics)을 대입하여 각 야채의 구리 축적량을 예측이 가능하였다. 이는 단기간에 생육할 수 있는 수경재배의 결과로부터 토경재배로 생육한 야채 중의 축적량을 예측할 수 있다.

○ 단기간에 생육할 수 있는 수경재배의 결과로 토양재배로 생육한 야채중의 중금속의 축적량을 예측한 결과를 토대로 중금속에 대한 토양관리를 하거나 또는 농산물에 대한 기준을 신속하게 제?개정이 필요 할 경우 활용이 가능하다고 본다.
저자
SHOJI Ry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0
권(호)
52(7)
잡지명
New Food Industry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54~60
분석자
이*옥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