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접치료용 I-125 선원 생산에서 방사선방호 분석평가
- 전문가 제언
-
○ 방사성동위원소는 매우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으며 근래 의료적 이용이 특히 활발해졌다. 양전자 단층촬영장치(PET)를 이용하는 악성질환의 조기진단을 위시해 갑상선암, 전립선암 등의 치료, 암 통증완화 등에 쓰이고 있다. 의료적으로 이용되려면 반감기와 방사선에너지가 적당하고 구득이 용이하며 안전관리체계도 적절히 갖추어져야 한다.
○ I-125 시드선원을 사용하는 전립선암의 근접치료(brachy therapy)는 미국, 유럽 등에서 널리 시행되는 기술이다. 전립선 적출술과 생존율이 동등하면서도 합병증이 적어 수술을 대체하는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알려졌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이 기술이 공식의료기술로 승인되었고 이미 일부 의료기관에서 100례 이상의 시술실적을 축적하기도 하였다.
○ 브라질에서는 이 기술의 보급 확대를 위해 I-125를 수입하여 소선원의 국내가공을 추진, 시설장비와 방사선 안전관리체계를 선원의 제조공급에 적합하도록 정비하고 있다. I-125 시드선원의 국산화를 통하여 국민 의료비 부담을 경감시켜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방사선의 혜택을 받도록 하려는 것이다.
○ I-125 시드선원 생산을 위해서는 원자로에서 표적물질 원자를 중성자로 조사하여 I-125를 생산하고 이를 시드선원으로 정밀가공 해야 한다. I-125 시드선원을 병변조직에 삽입하기 위해 지름 0.08mm, 길이 4.5mm 이하 등 시드로 가공해 밀봉상태를 확인, 누설이 없음을 보증해야한다. 작업자에 대한 방사선 안전관리도 중요하다.
○ 우리나라 원자력연구원에서도 근접치료용 I-125 시드선원을 개발하고 있다. 회분-루프형 I-125 생산 장치와 티타늄캡슐 밀봉을 위한 레이저용접용 지그 등이 개발되었다. 국제적 규격을 충족시키는 근접치료용 여러 소선원들이 적절한 안전관리 체계 하에 생산되어 원자력의 의료적 이용이 더욱 보편화 되기를 기대한다.
- 저자
- Carla D. Souza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1
- 권(호)
- 53
- 잡지명
- Progress in Nuclear Ener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66~72
- 분석자
- 김*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