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폐 인쇄회로기탄 해체에 관한 기술타당성

전문가 제언
○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세계적으로 폐가전제품의 수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2008년을 기준으로 3개 가전제품의 폐기물로 처리되는 수량이 냉장고 106만 대, 세탁기 111만 대, TV 129만 대로 막대한 양이다.

○ 이러한 현상 때문에 정부는 2008년 1월부터 전기?전자제품종목에 대한 생산자 책임 재활용제도를 도입하기 위해 전기?전자제품 및 자동차의 자원순환에 관한 법을 운영하고 있다.

○ 생산자 책임 제도를 준수하기 위해 가전제품 생산업체는 특정 지역에 폐가전제품 처리공장을 운영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제도가 정착하기 위해서는 생산자, 유통담당 및 소비자가 모두 참여해야 선진국의 사례와 같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 본고에서는 모든 가전제품에 들어있는 인쇄회로기판 조립품을 회수하는 방안을 논술하고 있다. 폐가전제품을 적정하게 처리하기 위해서는 폐가전제품에서 인쇄회로기판을 우선적으로 회수해야 한다고 한다.

- 인쇄회로기판에는 저항, 릴레이, 축전지 및 집적회로와 같이 회수할 가치가 있는 부품이 많지만, 납, 수은, 카드뮴 등 중금속과 함께 다이옥신을 유발하는 브롬화합물 계통의 난연제도 포함되어 있다.

- 폐 인쇄회로기판을 재활용하는 방안으로, ①원시적인 납땜분리방법, ②자동식 접근방법, 그리고 ③반자동식 접근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 폐가전제품에는 인쇄회로기판을 위시해서 여러 부품으로부터 가치 있는 자원을 회수해야 하지만, ABS 수지 등과 같은 고분자물질은 건류과정을 거쳐 연료로 전환시키거나, 연소시켜 에너지로 활용하는 방안도 가능하다.
저자
Huabo Duan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1
권(호)
92
잡지명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392~399
분석자
진*섭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