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는 직경의 고탄소크롬강선 제조기술개발
- 전문가 제언
-
○ 전기 통전용 동선이나 코일 및 철사와 같이 와이어 종류의 선재는 일반적으로 소재를 테이퍼 홀(소재입구 측의 홀이 크고 출구 측의 홀이 작은)을 갖는 다이스를 통과시켜 출구 측 직경이 소정의 소재완성치수로 되는 인발가공(신선가공)으로 제조되고 있다. 인발은 다이스 출구 측으로부터 소재를 인장하는 공법으로 가공 재는 축 방향으로 인장력과 축 수직방향으로 압축력 및 다이스 테이퍼 홀 베어링 면에서는 마찰력을 받으며 재료가 소성변형 되는 가공법이다.
○ 따라서 인장력에 의해 변형된 재료의 내부조직은 소재의 조직에 비하여 거칠어지기 때문에 고강도, 고경도를 요하는 부분의 사용에는 적합하지 않다. 니들베어링과 같이 축 수직방향으로 큰 하중을 받으면서 축과 구름 접촉을 하는 니들용 소재의 인발가공은 재고 될 필요가 있다.
○ 그래서 니들베어링용 소재인 고탄소크롬강선재의 가공공정 개량을 시도, 종래 선재인발공법 대신에 냉간압연 공법으로 대체하여 양질의 니들용 소재를 개발하였다는 보고가 있다. 냉간압연공법은 단조나 압출과 같이 재료에 압축력을 가하는 가공법이므로 원 소재의 조직에 비하여 냉간압연에 의해 가공된 재료의 조직은 미세화 되어 강도의 증가는 물론 경도 등 재료의 기계적 성질이 개선된다.
○ 니들베어링용 니들 소재를 냉간압연 가공함으로서 다이스에 의한 인발가공에 비하여 공정의 삭감과 재료의 기계적 특성은 개선되지만 니들은 베어링에 들어가는 중요 부품이므로 가공정밀도가 중요하다. 특히 선재의 진원도는 베어링 회전 시 진동, 마찰 등의 발생에 직결되는 요소이므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소재생산 이후에 진원도 향상을 위한 센터리스 연삭공정이 추가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K. ONO, S. NISHIMURA and M. HORIMOT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10
- 권(호)
- 51(599)
- 잡지명
- 塑性と加工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1135~1139
- 분석자
- 정*갑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