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참부채버섯의 항대사증후군 작용

전문가 제언
○ 대사증후군(metabolic syndrome)이란 내장지방 비만 원인으로 고지혈증, 당뇨, 고혈압 중 2가지 이상이 중복된 상태로서, 관상동맥성 심질환(CHD: Coronary Heart Disease), 당뇨병, 뇌졸중 및 특정 암 종류와 결합되어 위험이 가중되는 복합적인 대사이상 장애 증후군이다.

○ 1988년 미국의 내분비학자 Gerald Reaven이 처음으로 'X증후군'이라 하였고, 영양 과다와 운동 부족인 현대인의 생활습관에 따라 그 위험성이 증대되므로 생활습관병이라고도 한다. 위험 요소는 복부비만, 고밀도 콜레스테롤의 감소, 혈중 중성지방 상승, 고혈압, 인슐린 저항 등이며, 이 질병의 징후로는 응혈의 형성을 조정하는 C반응성 단백질(C-reactive protein) 수치 상승 등이다.

○ 대사증후군은 미국과 영국에서 성인의 약 25%가 걸릴 만큼 흔하며, 50세 이상의 성인과 비만인의 비율이 높다. 대사증후군은 운동과 체중감량, 탄수화물 및 포화지방을 적게 섭취하고 불포화지방을 보충하는 식이요법과 기능성 성분의 섭취로서 예방할 수 있다.

○ 버섯에는 다양한 생체 조절기능(콜레스테롤 저하, 항종양, 혈당 저하, 간 기능 개선, 고혈압 억제, 면역 부활, 간염 개선, 항염증, 항알레르기, 항산화 작용 등)이 있음이 보고되었다.

○ 비만?당뇨병?지방간을 유발하는 db/db 마우스를 이용하여 참부채버섯의 영양생리 작용을 평가한 결과, 참부채버섯 분말 섭취에 의하여 간장 중량의 저하, 간장 지질 농도의 저하 및 지방산 합성효소의 활성저하를 확인하였다. 아울러 지방산 분해효소(Carnitine palmitoyl transfer -ase) 의 활성 항진, 혈중 인슐린 및 adipocytokine 제어 등 항대사증후군 작용도 확인하였다. 이러한 생리활성 성분의 분리 동정에 관한 심층 연구가 이어져, 대사증후군의 효과적인 대응 기능식품으로 발전되기를 기대한다.
저자
Yanagita Teruyosh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0
권(호)
52(12)
잡지명
New Food Industry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3~17
분석자
이*옥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