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체내의 비정상 압력과 온도 측정기술
- 전문가 제언
-
○ 비정상 압력과 온도는 많은 산업 공정에서 흔히 나타나며, 세계적으로 이를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과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측정표준 전문기관인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을 중심으로 관련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 국내에서 비정상 압력 측정에 대한 수요는 방위산업체와 국방과학연구원을 중심으로 하는 무기 개발과 시험평가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시간 변화가 큰 동적 압력 측정에는 주로 압전형(piezoelectric) 센서가 쓰이고, 이보다 다소 늦은 경우에는 압저항형(piezoresistive) 센서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분야에 대한 국내 측정 및 교정 능력은 세계적 수준이라고 평가된다.
○ 자동차 산업은 비정상 압력 측정을 필요로 하는 또 다른 예이다. 현재 국내 기술로서 엔진 실린더 내의 고온의 비정상 압력을 측정하는 것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해외 기술에 의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문제는 단순한 기술 자립의 차원이 아니라 국내 자동차 기술 정보의 해외 유출을 방지하는 측면에서도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 철강 산업은 각종 온도 측정을 필요로 하며, 특히 비정상 온도 측정에 대한 수요가 크다. 강판 압연 시 표면 온도의 공간 분포와 시간 변화가 급속히 나타나며, 이는 주로 적외선 광고온계를 사용해서 비접촉식으로 측정되고 있다. 국내 철강 산업 분야의 온도 측정 수요는 세계적으로 20 % 정도 차지할 정도로 크다. 이에 따라 그 동안 이 분야에 대한 국내 투자가 많이 이루어져 현재 확고한 기반을 구축하고 있다.
○ 현재 국내 IT 산업의 발전으로 LED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바, LED 제조의 유리 공정에서 정확한 비정상 온도 측정이 요구된다. 이 문제에 대해서도 현재 국내 기술로 잘 대처하고 있다고 평가된다.
○ 측정기술은 물리학을 바탕으로 하는 IT 융합기술이다. 따라서 이 분야의 기술 발전은 IT 발전에 병행하는 전반적인 기초과학과 물리학의 육성으로 이어질 수 있다. 현재 거의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측정 장비와 센서의 국산화가 시급한 이유가 이것이다.
- 저자
- Majid Navav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10
- 권(호)
- 81
- 잡지명
- Review of Scientific Instrument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03110101~03110114
- 분석자
- 은*준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