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제 압타머(Aptamer)
- 전문가 제언
-
○ 압타머를 기반으로하는 치료제의 개발은 새로운 신약개발분야이다. 아직도 허가된 약품이 한가지 밖에 없다. 그러나 이것은 조만간 지적재산권이 해제되는 시점에서 크게 확대될 전망이다. 특히 HIV등에 특이적인 치료법이 개발된 것은 주목하여야 할 일이다.
○ 국내에서도 압타머의 임상적 기초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은 고무적인 일이고 앞으로 이 분야를 통한 신약개발에 청신호로 평가된다. 특히 나노기술을 접목하려는 시도는 신약개발에 대한 새로운 희망을 갖게한다.
○ 압타머를 치료제로 할 때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약력학적 연구의 뒷받침이라고 생각된다. 압타머를 이루는 뉴클레오티드들이 대부분 변형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의 움직임에 대한 면밀한 연구가 필요하다. In vitro에서는 안전하였다 하여도 생체내에서 어떤 특정한 환경이 될 때 DNA나 RNA로의 도입이 있을 경우 안전한가?
○ 표적 단백질 이외에서의 부작용에 대한 철저한 연구가 필요하다. 비록 소분자 약물에 비하여 장점이 있음은 확실하다고 볼 수 있으나 원래 생체내에 있으며 작용하고 있는 항체들과는 비교할 수 없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오믹스기술을 통한 동물실험을 이 분야의 신약개발에 권하고 싶다.
○ 젊은 생명과학자들이 이러한 분야가 있다는 것을 인식할 기회가 되면 우리나라의 바이오분야 연구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 저자
- Anthony D. Keefe, Supriya Pai and Andrew Ellington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0
- 권(호)
- 9
- 잡지명
- Nature Reviews Drug Discover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537~550
- 분석자
- 김*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