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DNA 센서, DNA 액추에이터, DNA 로봇

전문가 제언
○ DNA는 비교적 쉽게 구할 수 있으며, 화학물질로서는 보기 드물게 매우 안정적인 구조를 지니고 있다. 다양한 리간드(Ligand)에 매우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현상을 활용하여 DNA 앱카머(Aptamer)를 확보할 수 있다. DNA 앱타머 분자의 말단에 형광문질을 표시하는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DNA 앱타머와 리간드 사이에서 특이적인 결합이 이루어지는지를 형광발현 변화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미국의 Colombia 대학과 Newyork 대학의 연구진들이 인체의 단백질 모터를 모방하여 미리 정의된 경로를 도움 없이 움직이거나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짐을 운반하기도 하는 DNA 로봇을 만들었다. DNA 구조와 역학 지식을 최초로 결합시킨 이 실험은 나노 로봇이 곧 자율적이고도 유용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이들이 만든 DNA 로봇이 인간의 혈관으로 이동하여 병을 고치는 자동의학 로봇을 만드는데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 미국의 California 공대 분자 로봇 전문가인 Paul Rothermund 바사는 “우리 분야의 목적은 복잡한 모든 생체 역학적 장치를 각자의 목적에 맞게 개조하는 것이다. 우리는 주위를 이동하고 짐을 운반하는 화학공장과 같은 역할을 하는 합성분자를 원한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이러한 프로세스 모듈을 만들고자 하고 그것들을 공학적으로 가공할 수 있기를 원한다”고 말하고 있다.

○ 국내에서는 전남대 기계 시스템 공학부 박종오 교수 팀이 박테리오봇(Bacteria+Robot)으로 질병이 생긴 부위에 약물을 전달하는 방법을 연구 중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 팀은 SU-8이라는 고분자로 한 변의 길이가 30 마이크로미터(㎛: 100만분의 1m)의 정육면체를 만들었다. 이 정육면체 외부에 세라티아 마르세센스(Serratia marcescens) 박테리아를 붙여 초당 5㎛ 정도의 속도로 이동시키는데 성공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영국 왕립화학회 학술지인 “랩온어칩(Lab-On-a-Chip)”에 발표되었다.
저자
Ibuki Kawamat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10
권(호)
28(10)
잡지명
日本ロボット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1162~1167
분석자
이*요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