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성 평가에 따른 안전성능 표준
- 전문가 제언
-
○ 20세기 종반으로부터 미국과 유럽에서는 안전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하위 시스템으로서 프로그래머블 논리 제어장치(PLC: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가 사용되기 시작하였으며, 컴퓨터의 탁월한 연산처리 능력은 그때까지 생각하지 못했던 안전기능의 실현을 가능케 하였다. 여기서 PLC는 사다리형 논리(Ladder Logic)로 프로그램을 작성하여 저장해 둔 내장 프로그램에 의해 작동되며, 실시간 모듈형의 반도체 제어계이다.
○ 위험성 평가(Risk Assessment)는 현장에서 사고나 재해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인을 작업 전에 가능한 한 모두 제거하고, 현장에서의 제한적인 인적, 물적 자원을 효율적으로 투입하여 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계획의 수립 및 활동의 기본이 된다. 위험성 평가(빈도 및 강도)의 방법이나 기법은 기업 또는 현장의 수준 및 환경을 고려하여 설정할 필요가 있다. 위험성 평가는 위험성 관리(Risk Management)의 기초이며, 동시에 위험성 평가의 결과를 실행해 나가는 것이 위험성 관리이다.
○ 일본의 경제산업성은 “차세대 로봇 안전성 확보 가이드 라인”을 작성하고 현재의 규격에서 벗어나는 서비스 로봇의 경우에도 위험성 평가를 의무화하고 있다. 위험성 평가의 절차는 기계류의 안전성을 순차적으로 판정하는 “위험성 평가”와 이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위험성 분석”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위험성 평가는 예상한 위험에 의해 안전성이 달성되고 있는지의 여부와 위험 저감대책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 우리나라의 산업안전 현장에서의 안전 사고율은 좀처럼 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는 안전에 관한 각종 규제가 있으나 사업장에서 사업주와 근로자의 의식 전환이 없으면 그 한계에 다다랐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이 스스로 의식을 전환할 수 있도록 위험성 평가제도의 확립이 절실히 필요하다. 그리고 정책당국은 이들을 모니터하고 자율규제를 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지원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 저자
- Yoshinobu Satoh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10
- 권(호)
- 49(10)
- 잡지명
- 計測と制御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671~676
- 분석자
- 석*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