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다기준 모델을 이용한 지속가능성 개발 측정: 한 사례연구

전문가 제언
○ 본 논문은 어떻게 Multi-Criteria Decision Analysis(MCDA)가 특정지역에 지속성 수준을 평가하는 것과 같은 복잡한 처리를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가를 보여 주고 있다. 그래서 먼저 특정 지역에 지속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다수기준 분석을 기초로 하는 접근방법을 개발했다.

○ 본 연구에서 사용한 다수기준 방법은 분석에 사용되는 지표를 나타낼 수 있는 목적함수에 동시에 도달하기 위해 가능한 대안에 관한 정보를 공급하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다수기준은 대안과 지수를 고려하는 차원 효과표(effects table) 변수를 구성하는 단계와 다른 기준을 특정지우는 중요성에 관한 정보를 공급하는 시스템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로 구분된다.

○ 지리정보시스템(GIS) 접점은 다수기준 모델에 적용된다. 이 적용의 이점은 영역 수준에서 통합자료를 더 좋게 관리할 수 있고 그리고 GIS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자료를 사용하여 새로운 지표를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사회경제적 차원 환경적 차원 두 가지가 별도로 개발된다. 그래서 사회경제성과 지수와 환경성과 지수를 얻는다. 최종적으로 사회경제 자료와 환경자료는 교차되어 각 대안에 대한 지속가능성 수준을 관찰하도록 허용한다.

○ 지표자료는 EUROSTAT, OECD, World Bank 및 European Environment Agency로부터 얻었고, 환경지표는 총CO2배출, 인공표면, 단편화 지수, 전력사용폐기물 분리, 음료수 사용, 총잠재부하, 공인공장, 공인공공연구소를 고려했으며, 사회경제지표는 인구밀도, 실업률, 여자 실업률, 작업관계사고, 고등교육지수, 여행자 매력 지수, 인류학 종속 지수, 활성기업, 가능한 수입을 고려하여 Umbria 지방 각 마을의 지속가능성을 분석한 결과 만족한 결과를 얻었다.

○최근 대두된 다수기준 접근 방법인 Dominance-based Rough Set Approach(DRSA) 또는 Rough-Set Theory로 보다 더 합리적인 접근방법으로 연구 발전해 나가야 할 것이다.
저자
Antonio Boggia, Carla Cortin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과학기술일반
연도
2010
권(호)
91
잡지명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과학기술일반
페이지
2301~2306
분석자
김*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