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일본 내에 도시고체폐기물 처리를 위한 탄화시설물 조사

전문가 제언
○ 본 연구는 일본에서 운영하고 있는 도시폐기물에 대한 탄화작용 시설물 운영에 대해 입력 폐기물, 시스템 처리, 폐기물 흐름, 생산된 숯의 질, 그것의 활용, 연료 및 에너지 소비 시설물 배출 통제 그리고 시설을 운영하는데 문제점 등에 대해 연구 조사하고 각 시설에 대해 비교분석하고 있다.

○ 본 연구는 도시고체폐기물을 탄화작용으로 숯을 생산하는 시설물 A, B, C 및 D로부터 설문과 현장 조사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B시설물은 pay-as-you-throw(폐기물 버리는 비용모델)계획 하에 지방자치당국에서 탄화폐기물로 일컫는 가연성폐기물만 처리한다. A, B, 및 D 시설물은 가연성폐기물에서 나온 플라스틱 용기와 포장을 처리하지 않는다. C 시설은 이들 물질 중에 페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병을 제외하고 가연성폐기물을 처리하고 있다.

○ 시설 B는 음식 쓰레기 수집비용이 높아서 쓰레기 탄화 처리함에 있어서 음식물 쓰레기 비율이 낮았다. 따라서 숯 생산량도 음식물 쓰레기 때문에 낮았다. 건조폐기물 무게를 따졌을 때 시설 C의 숯 생산량이 가장 많았다. 전기와 연료의 년 간 소비를 고려하여 1톤 숯을 생산뿐만 아니라 1톤 폐기물 처리하는데 소비되는 에너지를 계산한 결과 시설 B와 C는 시설 A 보다 오일이 명백하게 더 많이 소모되었다. 시설 A와 다르게 시설 B와 C는 반 지속적으로 가동하였고 탈수 숯을 만들기 위해 건조처리를 했었다.

○ 도시고체폐기물처리를 위해 탄화작용은 기술적으로 열화학 변환방법이 가용하지만, 에너지효율 문제와 숯 활용은 경쟁적 입장에서 탄화작용 방안을 해결해야 한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가능한 방법은 입력 폐기물 구성, 처리 규모, 단위 처리의 편성, 운영방법, 숯의 생산량과 질에 대해 최적화를 하여야 한다. 이는 현재 운영하고 있는 시설의 장기 운영 자료를 분석하고 피드백(feedback)을 기초로 해결할 수 있다. 조사 결과 탄화작용 시설에 고질적인 문제는 나타나지 않았다는 사실은 앞으로 탄화작용 시설물 발전에 매우 고무적이라 할 수 있다.
저자
In-Hee Hwang, Katsuya Kawamot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과학기술일반
연도
2010
권(호)
30
잡지명
Waste Manage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과학기술일반
페이지
1423~1429
분석자
김*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