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바이러스 특이 영상 프로브(probe)로서의 방사선표지 항바이러스 약제 및 항체

전문가 제언
○ 본 레뷰는 세포 내에서의 바이러스 감염 과정을 탐지하거나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숙주의 반응을 탐지하기 위한 검사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바이러스 특이 효소 등과 결합하는 항바이러스 치료제나 항체를 방사선 표지하고 세포에서의 반응을 단일-광자 방출 컴퓨터 단층영상기(single-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SPECT) 혹은 양전자 방출 단층영상기(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로 측정하는 방법이다.

○ 이들 측정 방법은 바이러스의 세포 내 혹은 세포 표면에서의 반응 과정을 자세히 관찰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근래 바이러스의 여러 단계 증식 과정에서 생산되는 효소들을 억제하는 다양한 억제제들이 규명되고 있다. 항바이러스제들에 관한 연구는 최근에 와서 대단히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여러 종류의 바이러스들에서 이러한 억제물질들이 밝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물질들을 이용하는 경우 바이러스의 감염 과정에 대한 보다 많은 규명이 가능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 현재까지 성공적인 항바이러스제 개발이 늦어지는 이유는 다양하나 그 중의 하나는 높은 독성 때문이다. 그러나 독성이 있는 경우에도 방사선 동위원소를 이용한 프로브로서의 개발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PET 영상 촬영을 이용한 영상 프로브의 활용에서 표지할 수 있는 항바이러스제는 그 종류가 대단히 다양하다.

○ 그러나 국내에서 영상프로브의 도입은 현실적으로 용이하지 않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동위원소의 취급이 쉽지 않으며 관계 전문가 간의 공동 연구 수행이 어려울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이다. 특히 PET나 SPECT는 고가 장비로서 구입이 용이하지 않다.

○ 동 분야의 연구 증진을 위해서는 바이러스 전문가, 핵의학 전문가, 항바이러스제 약제 전문가 등 다양한 분야 간의 협력 증진을 위한 체계를 수립할 것을 건의한다.
저자
Mike Braya,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0
권(호)
88(2)
잡지명
Antiviral Research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29~142
분석자
신*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