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전력체계를 위한 한계 CO₂배출량 예측
- 전문가 제언
-
○ 2030년까지 세계 전력수요는 매년 평균 2.5% 증가할 것이며, 우리나라는 이보다 많은 매년 3%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또 세계에너지「기술전망2010(ETP 2010)」에서 2050년 발전부문의 CO2 배출량은 BAU 경우에 현재의 2배 이상, CO2 집약도는 현재 700gCO2/kWh이 450gCO2/kWh, Blue map 경우에는 67gCO2/kWh를 전망하고 있다(IEA).
○ 세계, 한국의 총 CO2 배출량(27Gt-CO2, 2006) 중에서 발전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이 각각 약 30%/24%로 가장 높아, 기후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준다. 전력은 생산과 동시에 소비되므로 수요자에게 공급된 전력의 효율적 이용은 에너지효율, 비용효율 및 기후변화 대응을 향상시킨다.
○ 지금까지 전력부문의 CO2 저감노력은 대부분 공급 측에 중점을 두었으나, 에너지변환효율의 한계, 송배전 손실의 기술적 문제 등으로 이제는 전력수요관리(DSM)와 탄소세와 같은 수요 측에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
○ 이 연구는 영국 발전체계의 수요 측 변화를 공급 측과 함께 고려해서 실제 저감하는 CO2 집약도인 한계 CO2 배출량(MEF)을 예측하고, 노후 발전설비의 교체시기 평가 등에 기존의 공급 측만 고려한 CO2 집약도(EAF 즉, 설비의 총 CO2 배출량/총 발전량)와 비교한 결과 EAF가 MEF보다 약 17% 적은 것은 수요변화의 영향을 과소평가한 결과로 DSM 제도 등을 활용하여 수요 측의 저감요인을 찾아 배출량을 줄이도록 해야 한다.
- 우리는 DSM 제도를 2002년에 도입하여 전력피크에 많은 도움을 주고 전력효율을 높이고 있으나, CO2 저감효과는 많이 부족하다. 즉 전력부문의 환경유해성 보조금으로 약 265만 톤CO2/년씩 저감손실을 발생시키고, 저렴한 전기요금은 전기소비와 CO2 배출을 증가시키므로 요금체계와 요금인상을 분석하여 합리적인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 수요 측의 자발, 효과적인 전력소비 절약을 유발하기 위한 정책개발과 공급 측의 신재생에너지 확대 그리고 CCS와 CDM 개발에 국제적 협조와 대응이 필요하다.
- 저자
- A.D. Hawkes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0
- 권(호)
- 38
- 잡지명
- Energy Polic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5977~5987
- 분석자
- 박*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