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가공의 신뢰성 확보 기술
- 전문가 제언
-
○ 최근 조사에 의하면 소비자들은 식품관련 위험에 어느 때보다도 더 관심이 많아졌다. 현재 기술적으로나 분석 장치, 안전관리 시스템 의무규정 등의 발달로 식품의 위험관리를 철저히 하지만 소비자의 제품에 대한 신뢰성의 의혹과 우려는 끊이지 않는다.
○ 국제적으로 육류거래는 국가 간의 식품 안전면에서 매우 민감한 부분이 많다. 각 나라마다 생산, 무역거래에서의 원산지부터 가공, 유통판매에까지의 투명성을 확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 국제적 교류가 빈번한 시점에서 식품 수입자가 수입 전 단계에서 수출국 제조업체의 원재료, 제조공정, 품질관리 수준을 확인, 점검하여 안전한 식품을 수입하는 우수 수입등록제도가 있다. 수입업체는 이러한 제도보다는 국제적 인증기관에서 생산 공장에 대하여 공장조사와 발전된 검출방법을 통하여 인증을 받도록 하는 등 소비자를 위한 신뢰성 확보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 최근 농촌진흥청 난지농업연구소에서 유전자감식법을 활용한 성판별 기술 개발로 소, 돼지, 말, 사슴 등 고기의 조직 및 생식세포를 채취한 후 유전자분석을 통하여 가축의 암·수를 판정할 수 있는 획기적인 방법의 개발을 비롯하여 ELISA, LC, PCR, Real time PCR, RFLP, Sequencing, SSCA, CSGE, 방사선조사 등의 방법을 통해 실시간 가축의 질병 판독, 육류 품질인증 등 국가적 분석데이터의 신뢰가 높아지고 있다.
○ 안전성 확보를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안전성 검사, 모니터링과 함께 식품과 그 원재료의 생산, 가공, 유통, 판매를 포괄하는 생산이력 추적시스템(traceability) 등의 도입과 실시가 중요하다. 또한 최신 개발된 고성능 분석 장비의 도입도 필요하고 국가예산으로 산?학?연구소에 도입 산재되어 있는 분석 장치의 명세를 공유하여 필요에 따라 신속하게 공동연계 분석을 통해 분석결과를 공유, 관리, 대처하는 국가 품질?위해 관리시스템이 필요하다.
- 저자
- N.Z. Ballin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0
- 권(호)
- 86
- 잡지명
- Meat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577~587
- 분석자
- 차*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