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용화 촉진제로서의 벤처캐피털
- 전문가 제언
-
○ "상용화 촉진제로서의 벤처캐피털“을 주제로 하고 있는 본 논문은 벤처캐피털(Ventures Capital : VC)이 한 지역에서 창업인재의 풀을 조성시켜주기 때문에 상용화 촉진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고 밝히면서 대학 연구에 대한 공공재정 지원과 VC는 기술혁신과 새로운 기업의 창업을 조장하는 데 있어서는 상호보완적 관계에 있으며, 기술혁신과 기업가정신을 지원하기 위한 벤처생태계가 매우 중요하다는 연구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 벤처캐피털은 뛰어난 아이디어와 고도의 기술력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경영기반이 약하고, 자금력이 부족해 창업을 하지 못하는 중소기업(벤처기업)에 자금을 제공해 주는 투자전문회사 또는 그 자본(Capital)이다. 미국의 VC산업은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비즈니스모델에 대한 상용화를 촉진하고 중요한 특정산업의 형성과 발전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OECD국가들의 정책에는 벤처캐피털을 지원하기 위한 VC의 투자촉진, 제2차 자금시장 조성의 촉진, 창업초기 단계의 기업에 대한 정부의 직접 지분투자, 지분보장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으며, 외국 선진기업의 경우 획기적인 기술의 상용화를 위해 VC와의 제휴나 협정을 통해 자금을 지원받고 있다. 미국 스탠포드 경영대학원의 연구는 VC의 자금제공을 받아 프로젝트를 진행한 기업들이 그렇지 못한 기업들보다 기술혁신의 정도와 신기술의 출시속도 면에서 더 좋은 결과를 보였다고 제시하였다.
○ 밴처캐피털은 국가경제의 경쟁력 확보와 기술혁신 활동의 중추이고, VC의 발전은 벤처기업의 활성화에 필수불가결한 요소이다. 그간 우리나라의 VC산업은 정부의 지원정책에 힘입어 급속한 성장을 하여왔고, 2010년에는 VC투자액이 1조5천억 원을 상회하고 있다. 앞으로 우리 경제성장의 원동력인 벤처부문의 안정적 발전을 위해 선진적인 VC시장을 구축하는 일이 중요한 과제이다. 또한 우리나라 VC회사들이 글로벌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대안을 찾는 노력을 경주해야 함은 물론 VC와 관련된 제도도 국제적인 수준으로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 저자
- Sampsa Samila,Olav Sorenson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10
- 권(호)
- 39
- 잡지명
- Research Polic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1348~1360
- 분석자
- 김*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