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발전소의 온라인 감시
- 전문가 제언
-
○ 원자력발전소 건설비용이 증가되는 만큼 발전소 정지 기간을 줄이는 것은 비용에 대한 편익을 증가시키는 방법인데 온라인 상태 감시가 최선의 수단일 것이다.
○ 온라인 상태 감시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서는 기능이 저하된 부품을 원자력발전소 정상 운전 중 교체하여 발전소의 정지 기간을 최소화하여야 하며 연료 교체 등 불가피한 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는 설비 개선 노력이 요구된다.
○ 온라인 상태 감시를 이용하여 얻은 계측기 및 기기의 위험 정보를 분석하여 계측기의 검 교정 주기의 연장 및 기기의 부품 교체 주기를 현실화할 필요가 있으며 제도화하는 법적 뒷받침이 요구된다.
○ 원자력발전소의 정비 유지에 따른 방사선 피폭이 불가피한데 방사선 피폭을 줄일수록 오프라인 정비의 여유가 생기므로 방사선 피폭 저감화에 대한 노력도 지속되어야 온라인 상태 감시의 실효성이 증가될 것이다.
○ 재래식 설계의 원자력발전소 기존설비에 기능 보완이 되는 경우 기존 설비 제거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다음 세대 원자력발전소에는 최적의 정비 유지를 설계에 반영이 요구된다.
○ TMI 원자력발전소 사고에서 얻은 교훈으로, 온라인 상태 감시를 이용하여 공정이나 계측기의 건전성 감시와 병행하여 운전원의 공학적 판단능력 유지 또는 향상 방안에 대하여도 지속적 관심이 요구된다.
○ 온라인 상태 감시를 이용하여 운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한편으로는 주요기기의 오프라인 감시를 통하여 원자력발전소 수명을 60년에서 더 연장할 수 있는 방안 연구가 필요하다.
- 저자
- H.M. Hashemian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1
- 권(호)
- 53
- 잡지명
- Progress in Nuclear Ener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167~181
- 분석자
- 김*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