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창의적 연구팀에서의 협력 메커니즘: 구성요소, 사회적 네트워크 및 지리적 위치

전문가 제언
○ 이 논문은 대학에서 발명활동에 참가하고 있는 창의적 연구팀의 구성에 관하여 조사한 것으로서 팀의 속성을 수행성과에 연계시킬 목적으로 이론적으로 도출된 일련의 가설들을 개발하고 테스트하는 대학 연구팀의 구성요소, 사회적 네트워크 및 지리적 근접성 등에 관한 협력메커니즘을 조사 대상으로 했다. 이 연구결과는 성공적 결과의 가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창의적 팀을 구성하는 방법에 대한 통찰을 제공함으로써 시의에 맞는 참고자료가 될 것이다.

○ 대학의 학과 경계나 기타 조직상의 경계를 초월하여 팀을 형성하는 데는 조정비용이 들게 마련이다. 그러나 특히 진실로 기발하고 참신한 지식들이 조합될 경우에는 그 지식의 다양성으로 인한 이점이 더 크다. 광범위한 외부 네트워크 가치와 더불어 다양한 기관의 멤버들로 구성된 팀은 특허, 라이선스 및 로열티에서 성공 가능성이 더 많음이 발견되었다. 또한, 외부 팀 멤버들과의 연계를 뒷받침하는 기존의 사회 유대가 상업화 결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왔다.

○ 혁신을 위해서는 창의적 사고와 창의적 팀의 구성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당위론은 많이 회자되어 왔으나, 정작 창의적 팀의 구성 등 팀에서의 협력 메커니즘에 초점을 맞춘 연구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외국에서도 그 예가 드문 편이다. 앞으로 이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또한 본 연구와 관련하여서도 팀 구조가 시간에 걸쳐 어떻게 진화하는 지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21세기 정보화 사회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고 지속적인 경제발전을 이룩하려면 신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벤처기업의 육성을 통한 산업의 활성화가 긴요하다. 오늘날의 지식기반사회 환경에서 인적자원에 의존도가 큰 우리나라 경제사회구조를 감안할 때, 창의적인 팀의 협력 메커니즘을 규명하여 생산성에 연결되도록 함은 매우 중요일이라고 할 수 있다. 앞으로 이에 관한 이론적 및 실증적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저자
Janet Bercovitz, Maryann Feldma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과학기술일반
연도
2011
권(호)
40
잡지명
Research Policy
과학기술
표준분류
과학기술일반
페이지
81~93
분석자
김*회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