납과 폴리염화비페닐(PCB) 노출로 인한 주의력결핍과 과잉행동장애
- 전문가 제언
-
○ 주의력결핍과 과잉행동장애(ADHD)는 어린이들에게서 가장 흔하게 진단되고 있는 신경행동장애이지만 아직 발병원인이 정확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
○ 본 원고에는 환경오염 화학물질인 폴리염화비페닐(PCB) 및 납 노출과 신경행동기능결함과의 연관성을 확인시켜 주는 많은 증거들이 기술되어 있다. ADHD발병 위험요인으로는 납과 PCB노출이 있지만, 다른 차원의 환경요인이라고 할 수 있는 조산, 저체중출생아 그리고 심리사회적인 고난 등도 위험요소가 된다.
○ 어린이의 납 노출문제는 선진국에서의 오래된 주택으로부터의 납 오염 가능성과 개발도상국의 심각한 납 오염 환경 때문에 세계적으로 공중보건의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 신경발달장애를 유발하는 요인인 유독물질에의 노출은 예방할 수 있으므로 더욱 그 기능과 영향을 면밀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환경오염물질에의 노출과 ADHD 관련성에 관한 논의는 진전되고 있지만, 어린이에의 노출영향을 정확하고 확실하게 평가할 수 있는 인지능력검사기술은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 우리나라도 가연휘발유의 사용금지 이후 대기의 질은 상당히 개선되고 있으나, 폐광?인근지역의?토양과?하천퇴적토는?납과 같은 중금속에 오염되어?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이들 지역에 대한 전반적인 중금속오염?실태파악과 처리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우리나라 소각장주변 주민의 혈액검사결과 외국과 거의 비슷한 수준의 PCB, 브롬화 난연제, 다이옥신 등이 검출되었다고 한다. 향후 이와 같은 환경호르몬의 분석방법 및 인체에의 영향이 종합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 저자
- Paul A. Eubig, Andrea Aguiar, Susan L. Schantz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0
- 권(호)
- 118(12)
- 잡지명
-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654~1667
- 분석자
- 윤*량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