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상용 디지털 위성통신의 부각

전문가 제언
○ 지상통신시스템에 비해 서비스지역의 광역성, 동보성(同報性), 이동성 및 통신거리와 무관한 경제성 측면에서 장점을 갖는 위성통신시스템은 방송이나 이동통신 분야에서 어떠한 다른 통신매체보다 유리한 통신수단으로 알려져 왔다.

○ 통신위성을 이용한 최초의 상용 이동통신시스템인 이리듐(Iridium) 시스템이 1990년대 중반 개발되어 2000년대 초반까지 서비스되었으나 IMT2000 등 지상 이동통신시스템의 급진적인 발전에 밀려 그 자취를 감추고, 통신위성은 현재 위성방송, 해양, 군용, 재난과 사적 디지털네트워크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 유럽의 위성방송은 1995년 발효된 유럽기술표준인 DVB-S (Digital Video Broadcasting-Satellite) 위성디지털 방송규격에 근거하여 현재 12 GHz 대역에서 디지털 TV (DTV)를 제공하고 있으며, DVB-S와 DTV/HDTV (High Definition TV)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는 향상된 DVB-S2 시스템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DVB-S의 변조방식은 직교위상편이변조(QPSK) 이다.

○ 국내도 1995년부터 무궁화위성을 발사하여 위성 인터넷, 디지털 위성방송, 기업 통신 네트워크 등에 다목적으로 이용하였다.?2010년 KT가 발사한 Olleh 1호는 국내에 HD 3차원 위성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SkyLife는 12 GHz 대역의 Ku-Band DVB-S 방식으로 디지털 위성방송을 제공하고 있고, TUMedia는 2.6 GHz S-Band 대역에서 코드분할다중화(CDM)과 직교위상편이변조를 사용하여 위성 모바일방송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앞으로의 위성통신은 간섭문제와 궤도 이용에 대한 정책적인 제한 등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위성 수가 많아질수록 간섭문제가 커지고 정지궤도 이용을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간섭을 완화하는 새로운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더불어 비 정지궤도 위성의 사용, 보다 높은 주파수대의 이용, 디지털전송 및 멀티빔 대형화 등이 요구된다. 위성통신기술은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여 계속적으로 발전되리라 예상된다.
저자
JOHN G. PUENTE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0
권(호)
48(7)
잡지명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16~20
분석자
김*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