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유기 태양전지 개괄 현황

전문가 제언
○ 에너지는 인간의 매일 생활에 필수적이다. 석유, 석탄, 천연가스 등의 화석연료가 근대사회를 지탱하는 주요 에너지원으로 오랫동안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화석연료원의 유한한 공급, 수입 화석연료에 주로 의존하는 국가 에너지 안전보장에 대한 우려, 에너지에 대한 수요 증가 등의 복합적인 이유로 다가오는 50여년 내에 청정에너지를 대량으로 얻기 위해 매진해 오고 있다.

○ 가장 바람직한 대체 에너지원의 하나가 태양에너지이다. 태양에너지는 아직까지 대량으로 활용되지는 못하고 있다. 태양에너지의 특징은 청정, 재생가능, 안전, 그리고 무궁무진하다는 점이다. 지구에 도달하는 태양에너지의 0.1%를 10% 성능의 태양에너지 변환 시스템이 구축되면 세계를 충분히 지탱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일반적으로 태양전지로 알려진 PV(photovoltaic) 전지는 햇빛을 전기로 직접 변환시켜 준다.

○ 유기 태양전지는 태양에너지 변환을 위한 향후 값싼 해결책으로 간주되어 오고 있다. 따라서 유기 태양전지 분야는 유기 반도체(저분자 및 공액 고분자 등)의 기술적 장점으로 인해 최근 연구개발과 산업적 관점에서 크게 부각되고 있다. 본 문헌에서는 유기 태양전지의 기본 디자인과 작동 원리와 함께 성능을 평가하는 주요 지수 등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최근의 유기 태양전지에 대한 현황을 살핌으로써 향후의 연구개발과 상업화를 위한 주요 도전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 2008년 8월 15일 이명박 대통령은 “저탄소-녹색성장”을 새로운 국가 발전 패러다임으로 선포하였다. 태양, 풍력, 수력 등 재생자원에 의한 에너지 비중을 현재의 2%에서 2030년에는 11%, 2050년에는 20%로 높일 것이라고 밝혔다. 따라서 이제는 연구가 아닌 실용화를 목표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차세대 성장 동력의 하나로 발전시켜야 한다. 한국은 반도체, 유기 EL, 디스플레이 생산에 있어 세계적으로 우위를 점하고 있으나 기본 기술에는 취약한 면이 있다. 이에 대한 연구 개발을 산학연이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때이다.
저자
Jiangeng Xue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0
권(호)
50
잡지명
Polymer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411~419
분석자
이*동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