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의 자동 마사지기기
- 전문가 제언
-
○ 2010년 통계청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5㎏ 이하 저체중 출생아 발생률은 2002년 4.0%에서 2008년 4.9%로 0.9%포인트 증가했다. 정부가 저 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양한 대책을 내놓고는 있지만 미숙아 등 고위험 신생아 군은 치료실 부족에 고통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생아 집중치료시설(NICU)은 2008년 말 기준 전국 109개 기관에 1271개 병상으로 미숙아 17.9명당 1명만 이용할 수 있다고 한다. 이런 상황에서 거의 5%에 육박하는 미숙아들의 집중치료와 보육은 매우 중요하다. 최근 정부지원과 민간투자가 증가하고 있다.
○ 신생아 마사지 관련 캥거루 요법의 효과가 밝혀졌으나 집중격리치료를 필요로 하는 경우 대체방법이 요구되어 출산모의 마사지와 같은 효과의 보육환경을 구현하는 장치가 필요하였다. 이에 신생아 자동물리치료(NAP)장치를 모방한 기술특허가 출현되었다. (카네기멜론 대학의 생의학과 박사과정에 있는 대학원생 Gaspard, Sanna(28)는 이 기술에 의한 시작품을 제조하고 특허를 출원 등록하였으며 “ TLneoCare for the NAP device ”회사를 설립 투자를 모색 중이다)
○ 범용 인큐베이터의 종류는 복사 열기를 이용하는 개방형 인큐베이터와 공기온도 및 유아피부온도를 감지하여 공기를 순환시키는 폐쇄형 인큐베이터가 있으며 대개 온습도센서를 이용 적정온습도를 유지하는 형태이다. 이 기술과 같은 진전된 형태의 마사지 장치나 인큐베이터는 개념특허형태로 출원되었고 인터넷 광고에도 일부 나타나고 있으나 상용화제품으로 출시된 것은 아직 없는 것으로 보인다. 향후 2~3년도 정도의 상용화 개발기간과 FDA 시험인증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 유아 마사지기는 척추를 제외한 신체 각 부분을 마사지하는 슬롯과 하우징을 포함하고 있다. 센서가 안전측면에서 특히 중요하며 하우징과 커버와 리드는 유아피부와 접촉하고 영향을 주므로 세밀한 설계가 필요하다. 보호소재 역시 친환경소재로 탄력적이고 내구성이 있으며 소독과 청소가 가능한 소재가 사용되어야 한다. 있다. 슬롯의 돌출구조와 동작구조 역시 Safe-Fail 이나 Fail Safe 개념이 통합적으로 적용되어야 한다. 이 기술 관련 국내 개발 및 연구가 필요하다.
- 저자
- GASPARD, Sanna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1
- 권(호)
- WO20110008824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57
- 분석자
- 박*만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