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국가 R&D프로그램 내에서의 연구 효율성에 대한 평가

전문가 제언
○ 이 글은 ‘국가 R&D프로그램내에서의 연구 효용성에 대한 평가“를 주제로 하여 서문, 공공정책 및 연구촉진과 스페인식품기술프로그램의 제도적 프레임워크, 연구효율성의 측정방법, 스페인식품기술프로그램의 평가, 정책시사점과 결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효율성분석에 의거 정책수립자들이 스페인식품기술부문에서 성공적인 혁신시스템의 실행에 기여하는 통합되고 포괄적인 연구그룹들의 형성을 어느 정도까지 촉진할 수 있는지를 평가한다.

○ 본 연구에서는 생산효율성에 대한 전통적 거리함수모델의 일반화된 변형을 추정하게 하는 자료포괄분석기법을 이용하여 효율성의 확대수준과 상이한 연구전략의 유형이 규명된다. 형성된 연구그룹들은 두드러진 기준역할을 하지 않으며, 오히려 부분적으로 지양되고 전문화된 유성형(shooting star) 연구그룹들이 가장 일반적인 패턴으로 알려지고 있다.

○ 잘 확립되고 통합된 연구그룹들은 혁신시스템의 목적에 더 크게 영향을 미치고, 그 그룹들의 연구는 새로운 연구그룹들의 연구보다 더 포괄적이 된다. 또한 포괄적, 효율적인 연구그룹들의 수는 초기 혁신시스템이 장기적인 포괄적그룹들의 신생을 촉진하기 위해 상이한 연구전략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 최근에는 국가R&D프로그램에 대한 사회경제적 영향의 평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그 효율성과 성과가 중시되고 있다. 미국은 정부성과 효율화법에 의거 정부재정지원을 받는 연구개발사업에 대해 성과가 평가되고 있다.

○ 그러므로 우리나라의 국가R&D프로그램에 대해서는 보다 철저한 효율성 및 성과의 진단이 필요하다. 아울러, 우리나라 R&D인력의 지속적인 교육으로 연구 효율성을 제고해야 하고, 연구효율성을 위해 연구개발비산출전문가의 육성이 필요하다.
저자
Fernando Jimenez-Saez, Jon Mikel Zabala-Iturriagagoitia, Jose L. Zofio, Elena Castro-Martinez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과학기술일반
연도
2011
권(호)
40
잡지명
Research Policy
과학기술
표준분류
과학기술일반
페이지
230~241
분석자
장*복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