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왜 해상풍력 에너지를 선호하는가

전문가 제언
○ 교토의정서에 설정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관점에서 볼 때, 해상풍력이 다른 신재생에너지에 비해 자원의 가용성이 우수하고 기술이 성숙되어있기 때문에 미래의 에너지원으로 더욱 각광을 받고 있으며, 향후 해상풍력은 전력시장의 한 부분을 차지할 뿐 아니라 바다의 일부분으로서 훌륭한 해안 경관을 이루게 될 것이다.

○ 2010년 도입된 풍력발전설비는 중국이 16,000MW로 1위이고, 미국이 5,000MW로 2위다. 중국의 4개 풍력발전업체는 세계 10대 풍력발전 업체에 포함되었고, 2014년 중국 풍력 설비용량은 106,000MW로 세계 전체의 26%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2010년 가동에 들어간 상하이 동해대교 해상 풍력발전소는 유럽을 빼고 세계 최대 해상 풍력발전소이다.

○ 해상풍력은 이제 시작되는 시장으로서 1990년에 최초 실증단지가 설치되었고, 지금까지 대부분 실증단지 수준으로 건설되었고 2010년 해상풍력은 누계 2000MW가 설치되었다. 지금 이 순간에도 영국, 덴마크, 네덜란드, 스웨덴 및 독일을 중심으로 기술이 크게 발전하고 있고, 향후 원소재문제와 온실가스 감축 등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 풍력산업을 선도하는 유럽의 경우, 네덜란드는 육지 설치공간이 충분하지 않고, 영국과 덴마크는 육상풍력에 대한 주민의 반대에 밀려 해상풍력으로 급진전하게 되었다. 스페인처럼 해안의 경사가 급하고, 바닥이 깊은 특수한 조건을 만족하여야 하는 경우도 있고, 독일, 프랑스 등 다른 국가에서도 해상풍력발전이 더욱 확산될 것으로 예상된다.

○ 국내에서도 2010년 11월에 지경부가 발표한 해상풍력 로드맵에 따라 해상풍력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기 개발 중인 육상풍력 기술을 해상풍력에 접목하고 해양과 관련된 기술을 추가로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개발 프로젝트와 실증단지 건설 등 국가차원의 지원에 의해 가능하다. 산학연관의 협력 하에 해상풍력의 발전을 기대한다.

저자
M. Dolores Esteba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1
권(호)
36
잡지명
Renewable 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444~450
분석자
나*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