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영화, 텔레비전 및 컴퓨터 스크린 상의 브랜드

전문가 제언
○ 이글은 “영화, 텔레비전 및 컴퓨터 스크린상의 브랜드” 주제 하에 서론, 텔레비전과 영화에서의 Product Placement, 비디오게임, 온라인게임- Second Life, 미해결 이슈의 결과 예측 및 결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표가 텔레비전, 영화, 비디오게임을 포함한 엔터테인먼트 매체와 Second Life의 가상세계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남용되는가의 조사에 중점을 두고 있다.

○ 오늘날의 텔레비전과 영화 시청자들은 이러한 매체들에서 제품배치(Product Placement: PPL)를 확실하게 인식한다. 가장 잘 알려진 예들 중의 하나는 1982년 영화 “E.T: 외계”에서의 Hershey사의 Reese's Pieces 브랜드 캔디의 배치이다. 영화가 출시된 이후 수개월 동안에 Reese's Pieces 브랜드 캔디의 판매가 66% 증가하였다고 보도되었다.

○ Second Life에서 상표의 상황에서 암시된 하나의 문제는 세계에서 일어나는 실질적 제품거래가 미국상표권법인 Lanham법 적용의 사법적 전제조건인 “상업상 사용”인지 여부이다. Second Life에서의 거래는 실질적 경제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거래는 종종 국가와 심지어 국제적 국경을 횡단한다.

○ 상표법은 상품과 서비스에 관한 혼동으로부터 소비자를 보호하고 있다. 소비자는 상표소유자에 의하여 허가되지 않은 오직 in-world에서만 교환되는 브랜드 가상제품에 의하여 혼동될 가능성이 있는가? 실제세계 영업이 in-world 출현 이전 즉 가상세계 Second Life 출발 시에 실제로 혼동이 일어날 것 같지는 않다.

○ 우리나라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영화, 텔레비전 및 컴퓨터 스크린상의 브랜드가 소비자에게 커다란 영향을 미침을 인식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상세계 Second Life, 간접광고하는 마케팅기법 Product Placement에 커다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 경우 가상세계의 권리관계에 관한 규정이 거의 설정되어 있지 않아 상표권을 포함한 법적 이슈가 많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이에 대한 심층연구와 대책 수립이 요구된다.
저자
Jill K. Tomlinson and Kieran G. Doyle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과학기술일반
연도
2010
권(호)
30(9)
잡지명
Licensing Jour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과학기술일반
페이지
9~23
분석자
고*국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