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종이·전자 신문의 환경영향 평가

전문가 제언

○ 종이신문의 제작·보급 관련 전 과정 환경 및 독성 영향은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크다. 이는 신문이 행정부·입법부·사법부 다음의 제4부라고 할 만큼 막강한 영향력이 있어, 신문에 대한 현대사회의 감시기능이 극히 미비한 탓이기도 하다. 2천 년대 초반 한국의 유력 신문인 조선일보에서 석유 근원의 잉크를 사용하지 않고 콩기름 근원의 잉크를 사용해 신문을 제작·보급한다고 대대적인 홍보를 한 것만 보아도, 종이신문 전 과정의 환경영향이 적지 않다고 할 수 있다.

○ 신문은 100여년 역사의 종이신문에서 5년여 역사의 전자신문 및 3년여 역사의 태블릿 e-신문으로 발전하고 있어, 종이신문의 전 과정 환경영향은 상대·절대적으로 크게 낮아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해마다 더욱 체감적(遞減的)이어서, 종이신문의 제작(펄프,· 제지,· 인쇄 등)에 따른 환경영향을 별도의 연구대상으로 하여 규명할 필요는 실질적으로 그렇게 크지 않다.

○ 종이신문을 주로 제작·보급해 왔던 한국의 유력 신문(조선·동아 등)은 종이신문과 더불어 인터넷 전자신문을 한국어·영어·중국어·일본어판으로 각각 동시에 발행·보급한다. 신문부문에서 한국의 태블릿 PC의 기술발전이 유럽보다 좀 늦기도 하고, 신문뉴스를 열람하기에는 모바일 형태의 스마트 폰의 사이즈(9인치)가 작은 탓이기도 하여, 한국의 태블릿 e-신문은 기사의 크기가 길고 큰 종이신문 뉴스보다는 컴팩트한 TV 방송뉴스 중심의 보도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 종이신문과 함께 태블릿 e-신문은 인터넷 중심의 e-book device와 결합해 새로운 시대의 스마트 전자신문으로 발전한다. 월간지, 전문지, 학회지 등도 e-저널로 이미 변신하고 , 현재의 전자책(웹북) 디바이스도 제작사 간의 콘텐트 호환이 용이 한 국제적 기준이 마련되는 2011년 10월 이후의 스마트 전자책(앱북) 형태로 발전하여, smart e-book device로서 종이신문과 인터넷 전자신문 및 e-저널의 기사를 한꺼번에 하나의 디바이스로서 열람(閱覽)하게 되는 방향으로 발전할 것이므로, 스마트 전자신문의 환경영향과 전 과정영향에 대한 환경·독성 평가를 전자산업 선진국의 일원으로서 대비·연구해 가야 한다.
저자
Asa Moberg, Martin Johansson, Goeran Finnveden, Alex Jonsso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30
잡지명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view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77~191
분석자
김*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