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스리랑카의 지하수 자원, 그 관리와 문제점

전문가 제언
○ 지구의 표면은 약 70%가 물로 덮여 있다. 유엔 세계수자원개발보고서에 의하면, 지구의 물 부존량은 약 13억 8천6백만㎦로 염수 및 담수가 각각 13억 5천1백만㎦(97.5%) 및 3,500만㎦(2.5%)이다. 이 담수(2.5%) 중 약 1.76, 0.76 및 0.0086%가 각각 빙설, 지하수 및 호수와 하천에 존재한다.

○ 지금까지 세계의 273군데에서 국가 간 공유 대수층이 확인됐다. 이 중 90, 68, 65, 38 및 12군데는 각각 서유럽, 아메리카, 동유럽, 아프리카 및 아시아에 위치한다.

○ 세계의 주요 대규모 대수층은 Nubian Sandstone 대수층 시스템(이집트, 차드, 리비아 및 수단 공유), North Sahara 대수층 시스템(알제리, 리비아 및 튀니지 공유), Guarani 대수층 시스템(아르헨티나, 브라질, 파라과이 및 우루과이 공유), Great Artesian Basin(호주), High Plains 대수층 시스템(미국 중부) 및 North China Plain 대수층 시스템(중국)을 꼽을 수 있다. 이들의 체적은 각각 75×1012, 60×1012, 30×1012, 20×1012, 15×1012 및 5×1012㎥이다.

○ 우리나라는 2006년 약 37.5억㎥의 지하수를 사용했다고 한다. 이 양은 우리나라 수자원 연간 총 이용량(337억㎥)의 약 11%에 해당한다. 이 11% 중 49, 45, 5 및 1%는 각각 생활용, 농업용, 공업용 및 기타로 사용했다.

○ 우리나라 지하수 오염은 폐공에 의한 비중이 크다. 따라서 지하수 오염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폐공의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하겠다.

○ 지하수의 올바른 관리를 위해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1990년대부터 지하수 오염 취약성(groundwater vulnerability) 평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국내 실정에 맞는 평가법이 아직 마련되지 못하고 있어서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저자
Karen Grothe Villholth, Lorraine D. Rajasooriyar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24(8)
잡지명
Water Resources Manage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489~1513
분석자
한*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