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원전기기와 재료의 기술적 과제 및 개발현황

전문가 제언
○ 우리나라에서 원전 기자재의 국산화를 시작한 것은 고리 2호기와 월성 1호기부터이다. 고리 2호기와 월성 1호기의 기자재 국산화율은 각각 10%이며 이는 정부가 원전을 도입하는 업체에게 기자재 공급금액의 10%를 한국시장에서 구입하도록 의무화한데 따른 결과이다.

○ 고리 3, 4호기부터는 종래의 일괄구매(turn-key) 방식에서 벗어나 미국의 Bechtel사를 설계회사로 선정하고 계약방식을 한국전력이 주도하여 분할 발주하는 소위 Island Approach 방식을 채택하였다. 크게는 원자로 일차계통 공급자와 터빈-발전기를 주축으로 하는 이차계통 공급회사를 분리하여 발주하고 또한 기타 기자재(BOP: Balance of Plant)도 분리 발주하여 국산품 구매를 최대화하였다. 이로써 기자재의 국산화 목표인 24%를 초과하여 28%를 달성하였다. 그 후 원전 기자재의 국산화율은 점차 증가하여 지금은 거의 100% 국산화율을 달성하였다.

○ 원전 기자재의 국산화에서 중요한 것은 제작자의 품질보증과 제품의 인증제도이다. 기자재의 국산화는 그 품목이 ASME Section Ⅲ 원자력품목에 해당되는 기자재인 경우는 미국의 ASME로부터 N Stamp를 취득하고 생산품목에 대해서는 공인검사기관의 검사를 받아 N Stamp를 각인하는 것에 한정하여 한전에 납품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기자재 납품회사들은 품질보증 계획서와 관련 절차서를 정비하고 ASME로부터 N Stamp를 취득해야 한다. 지금은 N Stamp 이외에 국산화를 촉진시키기 위해 국내법에 의한 인증제도도 병행하고 있다.

○ 원전 기자재의 국산화를 위한 가장 대표적인 국내회사는 현대양행이었으며 처음에는 군포공장에서 복합화력 발전소의 보일러를 GE의 하청으로 제작하기 시작하였다. 나중에 이를 더욱 발전시켜 창원의 원자력발전소용 종합제작공장이 완성됨으로써 원전 기자재를 대폭적으로 국산화할 수 있게 되었다. 이 회사의 경영권은 대우를 거쳐 한전의 자회사인 한국중공업으로 이전되었다가 한국중공업의 경영이 정상화 된 후에는 다시 민간기업인 두산으로 경영권이 이전되었다. 지금의 두산중공업은 세계적인 원전 기자재 제작회사이다.
저자
I. Sait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0
권(호)
52(12)
잡지명
日本原子力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806~810
분석자
이*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