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유럽의 바이오디젤 수명주기 연구현황

전문가 제언
○ 석유 수송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재생에너지원으로는 바이오연료가 거의 유일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바이오연료는 수명주기 동안에 온실가스 배출량을 증가시키지 않는 것으로 평가되기 때문에 온실가스 감축방안으로서 각국의 에너지정책에서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 그러나 시장적 메커니즘에서 이를 무조건 장려하면 식량 공급과 온실가스 측면에서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실제로 바이오연료를 크게 장려하고 있는 유럽연합에서는 바이오연료의 생산 증가에 따라 곡물 재배가 감소하여 식량가격과 공급에 큰 불안요인이 발생한 경험이 있으며 바이오작물 장려정책을 중지한 바 있다.

○ 세계적인 고유가로 바이오연료의 수요가 큰 폭으로 확대되자 그동안 주목을 받지 못했던 바이오연료 개발 확대의 부정적인 측면도 조금씩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부정적인 측면은 대개 바이오연료 생산의 간접적 영향들이며 주로 시장 메커니즘 측면에서 발생한다.

○ 바이오연료의 생산에 따른 영향을 에너지정책에 종합적으로 반영하기 위해서는 온실가스 감축효과, 생물다양성 및 식량 소비량 등의 간접적인 영향도 반영해야 할 것이며 그렇지 않으면 관련 정책과 대책의 시행에서 상당한 리스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 유럽연합은 2008년 기준으로 세계 바이오디젤 생산량의 65%를 차지하고 있고 2020년까지 수송연료 중 바이오연료 비율을 10%(2009년 현재 4%)로 높일 계획이다. 따라서 유럽연합에서는 바이오연료 역할이 어떻게 평가되는지가 매우 중요한 정책적 사항이 되고 있다.

○ 이 자료는 유럽산 바이오디젤을 대상으로 바이오디젤의 수명주기에 소요되는 비재생에너지 요구량과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한 연구결과들을 종합하여 바이오디젤의 역할을 조망하고 있다. 특히 과거에는 바이오디젤의 수명주기 온실가스 배출량이 석유디젤보다 훨씬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최근에는 석유디젤보다 오히려 높은 수치로 평가되는 경우가 많아 바이오디젤에 대한 평가가 달라질 수 있음을 전하고 있다.
저자
Joao Malca, Fausto Freire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1
권(호)
15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338~351
분석자
김*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