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지지역의 설빙 중 광 흡수성에어로졸의 광학특성
- 전문가 제언
-
○ 에어로졸 입자는 빛을 산란시키거나 흡수하는 등 광학적 효과가 커서 이들이 구름 속에서 다양한 작용으로 구름 핵이나 얼음입자를 형성해서 결과적으로 기후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에어로졸의 직접효과는 지구에 유입되는 태양광을 산란 및 흡수에 의해 차단하여 지표에 도달하는 태양에너지를 감소시킨다. 간접효과로서 구름 속의 에어로졸은 응결핵으로 작용하여 구름입자의 농도가 증가, 알베도 값이 증가하고 구름의 양을 증가시켜서 지구복사와 물 순환의 변화를 초래한다.
○ 인위적 오염원에 의해 발생되는 대류권의 에어로졸은 전 지구 평균 약 -0.18~-2.6W/㎡의 복사 강제력을 가진 것으로 보며, 이들의 냉각효과는 CO2에 의한 온실효과에 상응한다고 한다. 이러한 에어로졸 가운데 광 흡수성 에어로졸은 설빙 면에 존재하게 되면 빛의 반사율을 떨어뜨려서 내부온도의 상승을 가져오므로 융해를 가속화 시켜서 설빙의 융해 소멸을 가져온다.
○ 최근 북극의 해빙이 예상보다 빠르게 녹는 원인을 국제적으로 규명하려는 조사가 진행 중이다. 북반구 산업활동의 증가로 가스와 먼지 입자가 증가하였고 이들이 극지방으로 이동하여 해빙을 가속화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 시베리아 삼림화재로 BC가 급증하면서 북극으로 이동하여 알베도를 낮추는 등의 현상을 보다 정밀한 모델개발과 위성관측으로 접근하려는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우리도 남극의 세종기지 그리고 북극에도 다산기지를 운영하여 전 지구적인 기후환경을 모니터링하고 있어 극지연구가 보다 활발해 지는 계기가 되고 있는데 차제에 극지해양 전문가를 적극 양성해서 지구환경 규명연구에 대한 국제적인 보조를 같이해야 하겠다.
- 저자
- Teruo AOK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0
- 권(호)
- 25(3)
- 잡지명
- エアロゾル硏究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240~246
- 분석자
- 차*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