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산화 및 환원 공정에 기초한 지하수 정화공장
- 전문가 제언
-
○ 산업발달과 인구증가로 말미암아 폐기물 발생량 증가와 유류, 농약 및 화학물질 등의 사용량 증가로 지하수 및 토양 오염이 심각한 수준에 와 있다. 오염원에 따라 제거(정화)하는 방법은 물리적, 생물학적, 화학적, 전기적 및 열적 방법의 5가지로 분류된다.
○ 본 공정은 인공 대수층 바닥에 분지를 형성하고 산소, 산화제 첨가로, 토양에 용존산소가 존재 하는 미생물을 위한 적절한 환경을 창출한다. 화학적 및 생화학적 공정과 함께 미생물은 이 지대나 층에 철과 망간의 침전을 제공한다. 이 지대나 지하층은 비소, 불소 및 다른 미량 오염원소를 제거하는 반응성 필터로 역할을 한다. 철산화 박테리아는 처리가 안 된 물의 2가철의 산화를 돕는다.
○ 본 공정에서 인공 대수층은 천연 지하수, 표면수로부터 인공 투과 지하수에 있는 금속, 준금속, 질산염, 아질산염, 살충제 및 유기 마이크로 오염물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 인공 대수층은 반응지대를 창출하는 물질을 채우는 분지, 급수라인, 하나이상의 위성 우물, 적어도 1개의 양수 우물로 구성되어 있다. 급수라인은 분지의 상부 외곽 주위에 적용되고 주된 우물은 대수층의 물의 정해진 수준을 유지하기 위하여 조절 밸브로 제공된 바닥 유출을 통하여 양수 우물과 연결되었다.
○ 본 공정은 주된 우물, 위성우물, 추출우물, 양수우물, 지질막(geomembrane) 등을 사용하여 인공 대수층의 창출을 제시하고 있는데 공정이 복잡하고 건설비가 다른 제거방법에 비해 고가로, 경제성이 없다고 사료된다.
○ 우리나라에서 대수층 및 지하수 관련연구는 10년 전까지만 해도 거의 그 사례를 찾을 수 없을 정도로 미미했다. 이는 기본적으로 유해 폐기물로 인해 파생되는 제반 위해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매우 낮았고, 토양오염이나 지하수 오염과 관련한 정부 차원의, 또는 상업적인 기술수요가 전무하였기 때문이다.
- 저자
- United Waters Inernational Ag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0
- 권(호)
- WO20100140116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8
- 분석자
- 유*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