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미국 남동부지역의 목질에너지 작물

전문가 제언
○ 에너지원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석유 및 석탄과 같은 화석자원은 멀지 않은 장래에 고갈될 운명에 있다. 바이오매스는 에너지 자원으로서의 이용에 대한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화석연료의 부족과 고가의 에너지 위기에서 바이오매스는 재생자원이며 친환경적인 중요한 연료로 볼 수 있다.

○ 1973년과 1976년의 에너지 위기는 전 세계로 하여금 속성수를 집중적으로 조사하는 기폭제가 되었다. 이에 따라 미국에서는 공법 110-140의 지령에 따라 바이오연료의 생산을 2008년의 34hm3에서 2022년에는 136hm3으로 증가시키는데, 이에는 60.6hm3의 목질계 바이오연료도 포함되어 있다.

○ 본고에서는 미국의 남동부지역, 켄터키와 버지니아 남부 및 텍사스 동부를 포함하는 지역에서의 활엽수의 성장 잠재력을 조사하였다. 산림전문가에 의해 지난 50년에 걸친 수종의 변화에 따른 생산 잠재력을 검토하였으며 이들의 현장경험과 결합시켜 활엽수종에 대한 에너지 작물로서의 잠재력을 평가하였다.

○ 주요 검토 및 평가 내용은 ①남동부지역의 에너지 작물에 적합한 활엽수종의 확인, ②이 지역에서의 활엽수의 생산력에 적합한 데이터의 확인, ③남동부의 활엽수의 생산율에 대한 최대 평가 제공, ④예상된 생산율을 달성하는 산림재배 실행 기술, ⑤이러한 실습에 대한 비용 계산 및 ⑥대체 에너지 작물로서의 loblolly pine의 재배와 활엽수와의 생산력 비교 등이다.

○ 현재 우리나라 주 에너지원인 화석에너지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또한 현재 고유가로 인해 국가에 막대한 경제적, 환경적인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화석연료를 대신하는 바이오매스의 에너지화는 국가적인 필수과제가 분명하다. 특히 목재 바이오매스 에너지의 대규모 사용을 위한 장비와 생산시스템의 시장수요는 대단히 클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나라의 관계기관과 기업이 한번 관심을 가지고 검토해 볼 만한 프로젝트가 아닌가 생각한다.
저자
Keith L. Kline, Mark D. Colema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34
잡지명
Biomass and Bio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655~1666
분석자
손*권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