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감염증 치료에서 환자배경의 중요성

전문가 제언
○ 감염이란 신체의 어느 부분이나 조직에 병원성 미생물의 침입이나 증식으로 인해 수반되는 조직손상이 일어남으로서 여러 세포나 조직의 메커니즘을 통해 결국 질병으로 발전되는 것을 말한다.

○ 신체가 감염되면 항감염성 약제가 이를 억제할 수 있다. 여기에는 항박테리아, 항바이러스, 항진균 약제들이 있으며 질병의 심한 정도에 따라 투여된다. 경우에 따라 복수의 항생제가 내성의 위험성을 낮추고 약효를 증가시키기 위해 투여된다.

○ 특히 치료시에는 영양섭취를 향상시켜야 할 뿐만 아니라 의사의 허락이 없는 약의 섭취는 피해야 한다. 특히 항생제는 필요이상으로 장기간 투여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항생제의 장기투여는 균의 내성을 키움으로서 더 이상 항생제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므로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 그러므로 병소부위에 있는 기염균의 동정이 가장 중요하므로 수술 등 치료시 반드시 사전에 샘플의 채취와 배양시험은 필수의 과정으로서 표준화해야만 이 기염균에 맞는 스펙트럼을 가진 항생제의 선택이 가능해질 것이다.

○ 현재 항생제 투여시에는 환자마다의 특수성보다도 일반적인 경험적 치료에 의해 투여량을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환자개인에 따라서는 과잉투여가 될 수 있으며 장기투여될 경우 내성균을 생기게 할 가능성이 크다. 그러므로 환자 개인의 병력과 유전적 체질 및 항생제 투여시점에서의 환자의 상태 등에 따른 부작용이나 투여량의 적합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표준화 된 시스템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저자
Yamat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0
권(호)
61(7)
잡지명
藥局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2596~2601
분석자
백*화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