꿀벌 리스크 평가와 최근 농약개발의 새로운 이슈
- 전문가 제언
-
○ 농약은 유효성분(activated ingredient, AI)의 작용모드에 따라 분류되지만 크게는 접촉성(contact)과 침투성(systemic)으로 대별할 수 있으며 특히 침투성은 지상부에 처리한 AI가 뿌리는 물론 식물 전체로 이동하여 약효발현에는 매우 중요하지만 화분이나 넥타에 잔류하는 농약을 꿀벌이나 방제대상이 아닌 곤충이 섭취하면 치명적일 수 있다.
○ 2008년 국제식물·꿀벌관계위원회(ICPBR) 꿀벌보호그룹 미팅에서는 필드나 세미필드에서 꿀벌에 미치는 침투성농약의 리스크평가 계획 개발과 테스트가이드라인 개정을 주로 검토하여 본고에서는 이를 요약·소개하고 있다.
- 침투성농약의 리스크 평가계획은 잔류농약에 벌 노출조건 분석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다단계 접근을 원칙으로 한다. 따라서 기존 잔류농약관련 일체의 독성 데이터를 중심으로 단순한 계산이나 꿀벌의 다양한 노출조건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 제시된 계획에서는 정부·민간합작(Public/private partnership, PPP) 고저리스크 데이터패키지를 검토하였으며 본 그룹의 향후 관심사항은 일액유동에 함유된 침투성 농약의 리스크평가에 집중하기로 하였다. 특히 neonicotinoid계 살충제 피복종자가 발아 후 종묘에서 발생하는 일액현상에서의 잔류농약이 꿀벌에 미치는 리스크가 주 관심사항이었다.
○ 농작물의 안정적인 수량과 품질유지에는 농약을 이용한 각종 병해충 방제가 필수이지만 최근에는 우리의 자연환경과 건강을 보다 중시하는 경향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녹색기술을 집중적으로 육성하면서 합성농약보다는 바이오제제 사용을 권장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꿀벌과 같은 방제대상이 아닌 유용곤충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신규농약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 저자
- H.M. Thompson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0
- 권(호)
- 66
- 잡지명
- Pest Management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157~1162
- 분석자
- 한*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