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초전도전력기술의 최신 동향

전문가 제언
○ 1911년에 초전도 현상을 발견하고 난후 NbSn계 Tc 4K(액체He), Nb3Al Tc 20K의 저온초전도선(LTS), 2000년대에 Bi2223계, Y123계의 고온초전도(HTS)선 재료의 Tc 77.3K(액체질소)이상 90K까지가 개발되어 20011현재까지 100년 걸쳐서 초전도케이블, 기기 등의 개발에 의한 CO2삭감과 에너지절약 등에 의하여 녹색환경 사회 구축에 이바지하고 있다.

○ 초전도선재료는 케이블, 한류기, 변압기, 발전기, 풍력발전기, 수력발전기, NMR, 초전도 자기에너지 저장시스템(SMES)등의 핵심소재이다. 초전도선은 임계온도가 90K 정도까지 개발되어 전류효율이 동선의 5배이상 높기 때문에 각기기의 소형화와 효율을 향상시키는 특징이 있다.

○ 초전도선재료는 임계온도가(Tc)가 액체He온도에서 20Tc 까지 개발된 Nb3Al계 저온 초전도(LTS)선재료와 액체질소(77.3K)온도 이상의 임계온도(90K이상)인 Bi2223, Re123(Re=Y. La, Nd, Sm등의 희토류금속)등의 초전도선이 개발되었다. 현재 Bi2223계 초전도선의 원재료가 다른 희토류금속보다 저렴하고 생산량도 많은 편이므로 Bi계 초전도선 개발연구에 치중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 Bi2223(Bi, Sr, Ca, Cu, O)초전도선의 제법(Powder In Tube(PIT))은 산화물을 혼합하여 Ag튜브에 꽉 다져넣은 다심선을 압축소결한 후 압연하여 테이프형 선재를 제조하고 또는 YBCO(Y, Ba, Cu, O)=Re123(Re=Y, La, Sm, Nd,..)의 선재 제법은 PLD(Pulsed Laser Deposition), PVD, MOD(Metal Organic Deposition)법 등으로 Re123을 Ni합금박판에 증착시켜서 CC(Coated Conductor)테이프선을 제조 한다.

○ 현재 초전도선을 이용하여 미국, 독일, 일본, 중국, 등 선진국에서 여러 가지 초전도 기기와 케이블을 시험제조하고 있고 한국에서도 한국전기연구원을 중심으로 연구기관과 대학에서 21C프런티어연구개발사업 중의 차세대초전도응용기술개발사업(2004∼2007)을 수행하여 4년 동안에 세계 연구수준에 육박하는 성과를 올렸고 초전도기기도 케이블, 모터 등 여러 기기를 개발하고 있으므로 많은 발전이 있으리라고 생각된다.

저자
Osami TSKAMOD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1
권(호)
59(1)
잡지명
工業材料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33~37
분석자
황*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