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화학공정제어 기술현황
- 전문가 제언
-
○ 석유화학과 같은 장치산업이 전체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정보통신 관련분야가 증가하는 금세기에도 아직도 감소하지 않고 있으며 그 경제적인 비중도 크다. 또한 모든 분야가 글로벌화 하는 추세에 맞추어 국제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이러한 산업분야는 생산성과 안정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공정제어가 중요한 하나의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 플랜트 공정계통에서 주요 공정제어는 PID(Proportional Integral and Derivative Control) 제어, AC(Advanced Control) 및 선형/비선형 MPC(Model Predictive Control)가 사용되고 있다.
○ 프로세스 컴퓨터의 출현은 기존 공정제어에서 아날로그로 실현할 수 없는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있게 되어 FFC(Feed Forward Control), 다변수제어(Multivariable control) 및 최적화제어(optimal control)를 실현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AC(Advanced Control)는 컴퓨터기반 기술과 동의어로 사용되기도 하며, 플랜트에서 생산성을 향상하고 에너지절약, 제품품질의 개선, 불량품 감소, 안정성 개선 및 환경개선에 이바지하고 있다. 이런 AC는 공정제어 이외에 여러 분야에 적용되는데, 즉 항공우주, 로보틱스, 레이더 추적 및 자동차안내 계통 등이다.
○ 국내 석유화학플랜트는 울산석유화학 단지, 여천석유화학단지 및 대산석유화학단지에 대단위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단지 내에 석유화학플랜트, 정유공장 등이 입주해 있다. 국내 석유화학플랜트에서도 생산성 향상, 안정성 및 품질개선 등을 위해 근래에 건설된 플랜트에는 최신 제어기술을 도입하거나 기존 시설을 개조하였다. 두산중공업은 원자력 및 산업체 계측제어시스템에 자체 기술로 설계 설치하는 등 국내업체도 국산화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주요 플랜트 공정제어 기술은 국산화 노력이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 저자
- Manabu Kano, Morimasa Ogaw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10
- 권(호)
- 20
- 잡지명
- Journal of Process Contro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969~982
- 분석자
- 박*준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