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친환경적인 자동차용 재료의 개발동향

전문가 제언
○ 지구의 기후변동에 대한 과학자의 국제조직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의 보고서에 의하면 지구 온난화 진행에 따른 기상이상의 빈번한 발생이 지적되고 있다. 이 기상 이상의 원인으로 CO2가스에 대하여 세계의 과학자들이 모두 인정하게 이르렀다.

○ 대기 중 CO2농도는 산업혁명전에는 280ppm정도였으나 현재는 380ppm까지 상승하여 CO2가스 발생을 감축시키지 않으면 안 될 위치에까지 이르렀다. 이 CO2가스발생에 대하여 자동차에서도 발생을 감소시키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 자동차는 LCA에서 볼 때 생산, 사용(주행) 및 폐차 시 발생되는 CO2가스 중 주행 중에 발생하는 70~80%가 되는 발생량을 줄이기 위해서 차량에 대한 경량화가 그간 많이 연구 되어 왔다. 그러나 자원의 제한적인 화석연료에 대해서는 거의 무방비 상태였으며 최근에 와서 전기자동차와 바이오 연료개발로 에너지 연료와 자원 고갈에 대비하고 있는 실정이다.

○ 국내의 바이오매스 잠재 가용 자원(Latent Biomass Resource)을 보면 국내 잉여분의 쌀 생산이 연간 100만 톤이고, 쌀과 함께 생산되고 있는 볏짚 생산이 연간 약 600만 톤으로 이를 바이오 연료로 활용하면 CO2가스 저감효과는 320만 톤에 달한다. 가축의 분뇨와 음식물 쓰레기 등으로는 8억4천만m3의 메탄을 생산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이중에서 쌀과 볏짚은 가장 긍정적이면서도 확실한 양이 추정되고 있다.

○ 21세기에 일류가 직면한 중요 과제인 지구온난화 문제에 대하여 우리나라도 지구 국가의 일원으로 자동차 분야에서는 경량화로 연비향상에 노력하고 연료분야에서는 바이오매스의 적극적인 개발로 대응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저자
Yoshiteru Yasud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0
권(호)
64(11)
잡지명
自動車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4~9
분석자
이*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