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하는 F-box단백질의 세계
- 전문가 제언
-
○ Ubiquitin 시스템은 거의 모든 생명현상에 관계하는 단백질의 양적 및 질적인 통제 메커니즘으로서 그의 모든 용태의 해명은 생명과학 발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과제로서 SCF로 명명된 것은 Skp1, Cull, F-box단백질의 머리문자를 따서 SCF로 이름이 지어졌다.
○ F-box단백질은 공통된 구조로서 F-box영역을 가지며 F-box영역은 Skp1/Cull/F-box의 공통 서브유닛하고 회합에 필요한 영역으로 더욱이 F-box영역 이외로서 기질인식영역을 가지게 되나 그의 구조에 따라서 F-box단백질은 크게 3종류로 분류하게 된다.
○ 포유류세포에서는 기질을 인식하게 하는 E3 Ubiquitin Ligase는 약 500종류 이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SCF(Skp1-Cull-F-box단백질) 복합체형인 Ubiquitin Ligase는 그중에서도 가장 큰 서브패밀리의 하나로서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서는 오랫동안 그의 생물학적 기능을 알지 못하였다.
○ 요즘에 와서 신규 F-box단백질의 기질이 밝혀지게 됨으로서 SCF복합체형 Ubiquitin Ligase의 생물학적 역할에 관해서 차츰 차츰 그의 전체상이 보이기 시작하였으며 특히 Fbxw7(SEL-10, hAgo, hCdc4)은 선충의 Notch(lin-12)의 Negative의 통제인자로서 발견되었다.
○ Fbxw7은 포유류세포에서 Notch뿐만 아니라 c-Myc, Cyclin E, c-Jun, c-Myb, KLFS 등의 세포증식을 바르게 통제하는 인자를 주로 Ubiquitin화하며, 실제로 난소암, 유방암, 악성림프종, 대장암에서 Fbxw7의 변이가 보임으로서 Fbxw7은 암 억제유전자인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 기질이 판명되고 있는 F-box단백질도 새로운 기질이 발견될 가능성도 충분한 것으로 Ubiquitin ligase의 기질을 높은 정도로서 탐색되는 기술개발은 앞으로의 Ubiquitin연구에 필수인 동시에 암 종양 억제유전자개발에도 공헌이 클 것으로 기대됨으로 이에 관한 탐색을 요망하고 싶다.
- 저자
- Kanae Yumimot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0
- 권(호)
- 29(12)
- 잡지명
- 細胞工學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200~1206
- 분석자
- 최*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