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발전계통의 지속가능성 지표

전문가 제언
○ 환경과 개발에 관한 세계위원회(WCED : the World Commission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가 1987년 발표한 “우리의 미래‘라는 보고서에서 지속가능한 개발이 처음 공식화되었다. 즉, 지속가능한 개발은 미래세대가 그들의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현재 세대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개발을 의미하였다.

○ 환언하면 지속가능한 개발(sustainable development)은 환경을 보존하면서 인간의 니즈(needs)를 충족할 목적으로 하는 자원사용의 패턴으로 이러한 니즈는 현재뿐 아니라 미래세대를 충족할 수 있어야 한다. 지속가능한 개발은 개념적으로 3가지 분야로 구분할 수 있다. 즉, 환경적 지속가능성, 경제적 지속가능성 및 사회정치적 지속가능성이다. 따라서 지속가능한 개발은 환경문제에만 초점을 두지 않는다.

○ 지속가능한 전기에너지를 그 관련인자, 즉 CO2배출, 토지사용, 에너지효율, 담수 사용량, 환경 및 사회적 영향을 감안하여 지속가능성 지표로 표시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지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 바 가장 높은 지표를 나타내는 분야는 풍력발전과 원자력발전이다.

○ 우리나라의 경우 국가에너지위원회는 2008년 제1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에서 2007년 화석에너지 비중을 83%에서 2030년까지 61%로 축소하는 한편, 풍력을 포함한 신재생에너지의 비중은 2007년 2.4%에서 2030년 11%로 약 5배로 확대하여 에너지 공급에서 탈화석연료화를 추진하고 있다. 지속가능한 전기에너지로서 원자력발전은 이미 20기가 가동 중으로 전체의 약 40%를 담당하고 있다.

○ 태양광 및 풍력발전이 지속가능한 에너지원 중에서 성장동력산업으로서 두드러지게 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지속가능한 신재생에너지 발전을 위해서는 효율향상과 대용량화 등으로 발전단가를 낮추는 문제 등이 상존하여 앞으로 이런 문제를 해결할 연구개발이 더욱 요구된다.
저자
Nezat Onat,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10
권(호)
14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3108~3115
분석자
박*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