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패밀리에 의한 막 통행 통제기구
- 전문가 제언
-
○ Ubiquitin화는 Proteasome에서 분해하게 되는 단백질의 번역 후 수식 메커니즘에서 발견되었으며, 막 단백질증식인자 수용체나 면역을 일으키는 주요조직적합항원(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 MHC)의 세포내에서의 수송을 담당하고 있으며, Lysosome에서는 분해하고도 관계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 Ubiquitin변이체를 사용한 Polyubiquitin쇄의 검토에서 Ubiquitin변이체를 과잉으로 발현시켜 Ubiquitin항체로서 면역침강으로 FLAG항체로서 Ubiquitin화 시킨 MHC I를 검출한 결과, K63의 Ubiquitin변이체(Ubi-K63R)를 발현시켰을 경우는 Ubi 2이상의 모든 형성이 억제되었으며, K11의 Ubiquitin변이체(Ubi-K11R)를 발현시켰을 경우에는 Ubi 3까지의 형성에서는 변화가 보이지 않았으나 Ubi 4이상의 모든 것의 형성이 억제되었다.
○ MIR(Modulator of Immune Recognition)패밀리는 항원제시에 관련하는 분자군을 Ubiquitin화하여 분해를 촉진하는 막 결합형 E3 Ubiquitin Ligase 패밀리이다. MIR패밀리는 바이러스분자군과 포유류분자군의 두 가지로 대별하게 되며 바이러스분자군은 면역회피에 관여하는 것으로도 생각되고 있다.
○ 본 논문에서는 MIR패밀리에 의한 막 단백질의 통제 메커니즘에서 Ubiquitin수식계로 인한 막 통행(Membrane Traffic)의 통제 메커니즘에 관해서 Kaposi 육종관련 헤르페스바이러스(Kaposi sarcoma?associated herpesvirus : KSHV)의 MIR2에 관한 최신의 지견을 소개하고 있다. 포유류분자 군에 관해서는 점차로 MHC의 Ubiquitin화로 인한 통제의 이상이 암 종양, 면역이상의 발생에 관여하는 것으로 밝혀짐으로서 이에 관한 생리기능의 일부가 해명되고는 있으나 그의 대부분은 아직까지도 알지 못하고 있는 실정임으로 이에 관한 심도 있는 규명을 촉구한다.
- 저자
- Eiji Goto, Satoshi Ishid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0
- 권(호)
- 29(12)
- 잡지명
- 細胞工學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244~1249
- 분석자
- 최*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