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라믹 인공골 설계,개발의 분석과 평가기술
- 전문가 제언
-
○ 인체의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생체조직은 낡고 약해진다. 대표적인 것이 치아와 뼈이며, 뼈는 탄력성이 저하되고 충격에 의하여 쉽게 부서진다. 자연노화 이외에도 사고나 산업재해로 인하여 경조직 손상을 가져오기도 한다.
○ 골절이나 골종양 치료로 발생하는 골 결손부나 장기 등의 수술에 따른 골 조직 재건에는 금속재료, 고분자 재료, 세라믹 재료가 이용된다. 세라믹 재료 중에서 수산화아파타이트(HA)는 생체 골의 무기질이 주성분이며, 인공적으로 합성된 HA는 생체 골과 직접 결합(골 유합)할 수 있다.
○ 현재 임상응용에 이용되는 인공 골의 구조는 상대밀도 99% 이상의 치밀 체와 수~수백㎛의 기공을 가지고 있는 다공체로 구분된다. 다공체는 기공률이 10%에서 80% 이상의 초 고기공률 다공체도 실용화되고 있다.
○ 이 문헌은 HA 인공골을 중심으로 의료기기의 개발에 이용되는 분석과 해석기술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특히 제품화에 대한 로드맵과 임상시험에 대한 항목 및 규정에 대하여 소개하고 있어, 제조에 관심이 있는 분야의 사람에게 매우 유익한 자료이다.
○ 국내의 바이오세라믹스 재료는 치과재료 등의 일부를 제외하고는 거의 외국제품에 의존하고 있다. 특히 시장규모는 있으나 대부분 소량 다품종 제품으로 생산하여야 하며, 개발단계에서 판매까지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그간 정부 지원으로 세라믹 인공뼈에 대한 연구가 있었으나, 실제 사용에서 좋은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 향후 규모가 있는 기업이나 연구기관, 의공학 관련 기관이 협력하여 연구를 진행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정부에서도 장기적인 프로젝트 구성과 연구비 지원이 계속되기를 바란다.
- 저자
- Daisuke Shoj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0
- 권(호)
- 47(6)
- 잡지명
- 材料の科學と工學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259~263
- 분석자
- 김*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