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와이어리스 급전 기술

전문가 제언
○ 근래 무선 전력전송기술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미국 MIT, Intel Co., 일본 Sony Co. 등 많은 연구기관과 기업에서 계속하여 시험제작시스템을 발표하고 있으며 휴대기기의 비접촉 충전용도나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의 충전, 사무실이나 공장 내 기기의 무배선 용도까지 폭넓은 분야에서 실용화가 검토되기 시작하였다.

○ 현재 무선급전(비접촉급전)은 연구개발 및 실용화가 이뤄지고 있으나 급전가능 거리가 짧거나 장치 사이의 위치결정에 제약이 있어 전자유도 방식보다 자기공명 방식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뤄지고 있다. 일본 무선주식회사에서는 자기공명 방식으로 전력 전송거리 40㎝에서 효율 95%를 달성하여 향후에 무선급전 시스템의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 와이어리스 급전은 전자분야나 반도체의 응용에서 전자기기나 칩의 전원케이블을 제거할 수 있어 일상생활에서 전자기기의 이용이 편리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2007년 미국 MIT에서 와이어리스 급전기술을 발표한 이래 이에 대한 관심과 기대가 고조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와이어리스 급전기술과 전자분야의 다양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 최근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 : Japan Aerospace Exploration Agency)에서는 2030년대 상용시스템의 운용개시를 목표로 1GW급 우주 태양광발전 시스템(SSPS : Space Solar Power System)을 연구개발하고 있다. 이 시스템은 와이어리스 급전으로 우주공간에서 얻어지는 태양광에너지를 마이크로파나 레이저로 변환하여 지상으로 무선 송전하여 지상에서 그 에너지를 전기로 변환하여 이용하는 시스템이다.

○ 국내에서도 무선급전 시스템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특히 KAIST, 국민대학을 비롯하여 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연구하고 있으며 전력전자학회에서는 2010년 12월「무선 전력전송기술」분야의 특집을 발표하였다. 앞으로 무선급전 시스템의 응용에서는 자동차나 로봇 등 산업기기, 휴대형 전자기기 등의 코드리스화, 전지리스화, 축전소자의 소용량화, 충전작업의 간소화 및 안전성 등의 향상과 연구개발이 기대된다.
저자
Tadahiro KUROD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0
권(호)
93(11)
잡지명
電子情報通信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964~968
분석자
유*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