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분산형전원의 단독운전 검출기술

전문가 제언
○ 근래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분산형전원이 널이 보급되고 있으며 특히 태양광발전(PV : Photo voltaic)의 증가는 현저하다. 앞으로 국부적으로 다수의 PV가 배전계통에 연계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한편 PV의 대량 연계는 PV출력에 따른 전압상승 등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 현재의 전압조정 방식에서는 적정한 계통전압의 유지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배전계통에서는 기존의 전압조정기인 변전소의 LRT(Load Ratio control Transformer)와 SVR(Step Voltage Regulator)을 이용하는 방식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고정도의 전압제어를 위하여 SVC(Static Var Compensator)나 TVR(Thyristor Voltage Regulator) 등 고속응답이 가능한 전압조정기와의 협조제어에 대하여 연구하고 있다.

○ 분산형전원이 연계되어 있는 계통에서는 단독운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독운전 검출장치를 설치하지 않으면 안 된다. 기존의 단독운전 검출장치에는 다양한 방식이 있으나 신뢰도 등에 과제가 있어 새로운 방식의 검출방법을 일본 Kansai전력에서는 연구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단독운전 검출장치의 최근 개발동향을 소개하였다.

○ 신재생에너지, 자가용 발전기 등 분산형전원은 전력회사의 대규모 전원과 달리 수용가 근처에 분산배치가 가능하다. 또한 분산형전원은 송배전 계통의 운영비 감소 및 친환경에너지라는 장점이 있으나 계통 운용상의 안전문제, 기술력 등 많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 우리나라에서 분산형전원은 2010년 10월 한국전력 통계에 따르면 태양광발전, 풍력발전 등 대체에너지 설비는 160만㎾로 2.1% 정도이나 앞으로 계속 증가가 예상된다.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한국전력?고창전력시험센터?에서는 분산형전원의 실증시험을 실시하고 있다. 앞으로 신재생에너지의 보급과 안정된 전력공급을 위해서는 전력계통의 운용, 전력품질, 분산형전원의 전력계통에의 영향 등 많은 연구가 요구된다.
저자
Shinobu INOUE, Kenichi DEN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10
권(호)
130(10)
잡지명
電氣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689~693
분석자
유*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