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물 환경평가의 가시화
- 전문가 제언
-
○ 각 동 사무?주거 건축물은 냉난방?환기?조명 및 각종 유틸리티에서 많은 양의 에너지를 소비한다. 이런 건축물에서 소비하는 에너지는 많은 국가의 경우에 전체 에너지 소비의1/4~ 1/3 수준에 이른다. 이에 따라 각국은 지구온난화 대응 차원에서 건축물의 에너지절약 등 환경부하 감소를 유도하기 위한 제도시행 등 활동이 강화되고 있다.
○ 이러한 배경에서 건축물의 환경품질 성능과 건축물의 환경부하 절감 수준을 종합 평가하는 시스템이 활발히 도입되고 있다. 이에 관련된 일본 사례 중에 “건축물 종합 환경평가시스템”, CASBEE를 들 수 있다.
- CASBEE은 환경품질 성능에서는 실내 환경, 서비스 성능, 부지 내부에서의 실외 환경을 평가한다. 그리고 환경 부하 절감에서는 에너지, 자원?재료, 부지 외부 환경에서의 부하 절감 수준을 평가한다.
- 또한 CASBEE에는 환경 효율이 고려된 새로운 평가 지표인 BEE(건축물 환경성능 효율)에 의한 정량적 평가도 포함된다.
○ 우리나라의 경우, 건물부분의 에너지이용 효율을 높이기 위해 18세대 이상의 신축?개보수 작업의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하는 “건물에너지 효율등급 인증제도”가 2001년 11월에 제정됐다. 그러나 이 제도는 인증 대상이 건물 에너지절감이 중심이고, 실내 공기청정 항목이 인증에 추가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 지구환경보존에 기여하고 쾌적한 실내 환경 및 건물 수명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건물 내외로의 환경영향 및 건물의 기본성능 항목이 포함된 종합적인 환경품질 성능을 평가하는 필요하다. 이를 위한 제도 보완과 건축주 및 설계?시공자의 참여가 요구된다.
- 저자
- Takashi YANA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10
- 권(호)
- 85(998)
- 잡지명
- 冷凍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956~960
- 분석자
- 이*원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