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의 표단면 해석과 미세구조제어

전문가 제언
○ 용융아연도금은 수도관이음쇠와 같은 탄소함량이 높은 FC, FCD 주철관, 교량이나 철탑 전신주, 송유관 등의 대형철강부품을 도금하는데 전기아연도금보다 효과적이다. 용융아연 및 용융 아연 합금도금을 효과적으로 실시하기 위해서는 재료의 화학성분과 형상, 도금표면과 단면, 도금층의 석출기구 해명이 필요하다.

○ 최근, JFE Steel연구소 Masayasu 등은 집속이온빔(FIB: Focused Ion Beam)장치를 이용하여 합금화 용융아연 도금강판의 표면과 단면해석, 미세구조제어를 연구하였다. Zn-Fe, Zn-도금에서 Si첨가강의 어닐링처리 및 산화물, Fe-Al 및 Fe-Al-Zn 합금도금피막의 강판밀착성, Al산화물에 의한 미도금의 현상을 연구한 결과, 연강에서는 주상의 ζ상, Si첨가강의 Γ1상과 δ1상 형성을 확인하였다. Si첨가 강에서도 ζ상을 생성할 수 있도록 도금조건을 변경하여 합금화속도를 향상시켰다.

○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는 수십 ㎸ 갈륨이온주사의 집속이온빔을 사용하여 나노탄소튜브를 절단하는 데 사용하고 있다. 인천의 A-tech 시스템과 주식회사 FT Lab에서는 분해능이 향상된 집속이온빔 Column개발을 시도하고 있다. 용융 아연 합금도금과 Chromate층 외에 향후 국내 자동차부품, 반도체, 인쇄회로기판 등의 핵심기술인 다층박막도금, 나노복합코팅, 첨가제에 의한 미립자석출과 미세조직, 결함, 불량원인규명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용융아연도금은 자동차 차체의 충돌이나 내구성 향상을 목적으로 고강도(High Tensile Strength)추세로 최근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다. 철강의 강도 향상을 목적으로 첨가하는 Si, P, Mn, S 등의 개재원소의 정확하고 세밀한 도금표면의 단면구조해석에 집속이온빔법과 주사전자현미경이나 투과전자현미경을 조합한 고 분해능의 주사이온 전자현미경의 적용이 기대된다.
저자
Etsuo Hamad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0
권(호)
15(12)
잡지명
ふぇらむ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785~791
분석자
김*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