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수 환경에 EC와 미량오염물질 연구순위
- 전문가 제언
-
○ 지구상의 담수자원 수요는 점차 증가하고 있지만, 물 순환에 의한 자연 상태로 얻을 수 있는 담수자원이 급속도로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하다.
○ 담수 자원을 효율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대책으로는 ① 담수자원의 수질을 악화시키는 물질을 제거하는 방법, ② 소독과정에서 발생하는 소독부산물의 최저화, ③ 해수담수화를 고려할 수 있으며, 연간 강수량이 일정하게 분포하고, 수량이 많은 지역에서는 우수를 수집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 소독과정에서는 트리할로메탄, 할로아세트산 등의 발암물질이 발생하기 때문에, 1년 이상의 기간 중에 염소투입량, 타 운전조건, 유해물질 농도 및 배수조건 등을 검토해야 한다. 동일한 정수처리장에서 생산된 수돗물이라도 기후, 운전 및 배수조건에 따라 발암물질의 농도가 변동하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친 조사가 필요하다.
○ 본고에서는 담수에 함유되어, 인체건강에 위해를 가할 수 있는 미량오염물질과 새로운 오염물질을 논술하였다. 이러한 물질을 산업용, 살충제 및 의약품 · 개인위생용품 등 3가지 범주로 구분해서 1일 섭취허용량과 발생빈도를 중심으로 취급하였다.
○ 이러한 미량오염물질은 사회적인 필요에 의해 폐기되고 새로운 제품이 출시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유럽의 REACH, 미국의 TSCA 등과 같이 유해물질 관리법에 의해 수시로 특별관리 오염물을 갱신해야 한다.
○ 염소에 내성을 갖는 크립토스포리디움과 지아디아 같은 원생동물을 제거하고 또한 미량오염물질을 최대한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도 막에 의한 여과가 필요하다. 국내에서도 민간업체에게만 맡기지 말고 일본 사례처럼 정부 주도로 산업체, 연구소 및 정부의 협조 체제로 정수 및 폐수처리를 위한 막 개발 및 표준화가 조속히 실시되어야 한다.
- 저자
- Kyle E. Murray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0
- 권(호)
- 158
- 잡지명
- Environmental Pollu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3462~3471
- 분석자
- 이*춘
- 분석물
-